ETRI-소닉티어, 자연음에 가까운 32채널 오디오 프로세서 상용화

자연음에 가까운 음향을 구현하는 차세대 32채널 오디오 프로세서 및 코덱기술이 산연 공동개발로 상용화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흥남)은 소닉티어(대표 박승민)와 디지털 시네마에 쓸 수 있는 입체음향 구현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Photo Image
ETRI 연구진들이 차세대 다채널 오디오 프로세서를 이용해 32채널 입체음향 영화를 관람하고 있다.

연구진은 소리를 압축하는 코덱기술을 이용해 신개념 다채널 오디오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소닉티어가 보유한 32채널 오디오 신호 기술을 디지털 시네마 환경에 최적화했다.

이 시스템은 자연음에 가까운 최대 32채널 포맷을 지원한다. 기존 영화관 장비와 호환도 가능하다. 영화 주인공 움직임에 따라 좌표를 만들어 음향을 내기 때문에 관객은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핵심기술은 차세대 다채널 오디오 프로세서다. 최대 16채널까지 소리를 전송할 수 있는 국제표준(DCI) 규격에 최대 32채널 오디오 신호를 현재의 5.1채널 및 7.1채널과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그 동안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영화음향은 표준규격이 16채널이었지만 콘텐츠가 7.1채널에 장애인용 2채널을 포함해 실제로는 10채널만 활용했다.

소닉티어는 현재 국내 유수 영화관 14곳에 프로세서 설치를 완료했다. 서울 여의도 IFC몰에는 전관에 설치, 운영 중이다.

ETRI 측은 지난해 씨네유럽·씨네아시아 등 영화 관련 전시회 출품에 이어 새해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씨네마콘에 프로세서를 전시, 본격적인 비즈니스에 뛰어 들 계획이다.

강경옥 ETRI 오디오연구실장은 “ETRI 핵심원천기술인 코덱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시장 실현 가능성을 열어준 좋은 사례”라며 “소닉티어가 히든챔피언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박승민 소닉티어 대표는 “출연연과의 협력으로 기술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향후 영화관 외에도 홈 엔터테인먼트 VOD 시장과 대형 전시관, 홀로그램 전시장, 중국 등 해외시장, PC용 플레이, 가전사 등을 타깃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