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우주로 쏘아올린 창조경제 폭죽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글로벌 전기차 업계 충전표준 현황

올해 태어난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쯤인 오는 2020년이면 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러시아나 일본으로 유랑 다닐 일이 없어진다. 정부가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의 개발 완료 시기를 1년 이상 대폭 단축한 덕택이다.

[해설]우주로 쏘아올린 창조경제 폭죽
Photo Image

발사체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의 인프라다. 나로호 프로젝트 때 우리가 고전했던 것은 발사체 기술 모두가 우리 것이 아닌 러시아 것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7년 뒤 1.5톤급 실용위성을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발사체가 만들어진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발사체를 활용해 할 수 있는 우주개발 사업은 실로 무궁무진하다.

정부는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는 2020년에 궤도선과 착륙선을 발사체에 실어 달나라로 쏘아 올릴 계획이다. 단군 이래 최대 숙원사업이라는 `달 탐사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이다. 자력 달 탐사 성공은 우주기술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동시에 국격 제고를 통해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효과도 크다. 달 탐사에 그치지 않고, 화성과 소행성, 심우주 탐사까지 추진한다는 게 정부의 장기 목표다.

세계 수준에 근접해 있는 위성 개발 분야도 지속 강화된다. 해상도 0.5m 이하급 `광학카메라 탑재체`와 전천후 상시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레이더 탑재체`만큼은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다. 국민 생활과 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위성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실시간 기상정보 분석과 예측, 해양오염 감시, 농경물 작황파악, 해상 물류관리 등 `다가가는 위성정보 활용시스템`이 신규 서비스된다.

문제는 기술이 아닌 돈이다.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발사체 기술은 이미 60년 전 제작된 교과서에 다 나와 있다. 그 매뉴얼 따라 조립하기만 하면 되는데, 그게 돈이 많이 든다”고 말했다. 연간 8800억원 수준으로 세계 우주시장(195조원)의 0.45%에 불과한 국내 우주산업 규모로는 이 돈을 감당할 수가 없다. 발사체 개발과 달 탐사 성공으로 거둔 기술을 민간에 상용화시키면서 이른바 `우주경제`를 활성화하는 선순환을 일으키겠다는 게 정부 발상이지만 이 역시 만만치 않다.

강성철 KIST 박사는 “결국 효율성 문제”라며 “발사체나 달 탐사나 관련 기술은 이미 50~60년 전 모두 개발됐고, 민간에 내다 팔 수 있는 관련 기술은 거의 다 시장에 나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결국 정부가 이번에 그려낸 우주 탐사계획을 현실화하려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비용부담을 책임져야 할 국민의 호응이 필요한 셈이다.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비전

우주개발 로드맵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