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맵스 능가하겠다는 정부 공간정보 서비스, 민간은 도움 안돼 `외면`

정부가 지난 10년간 1000억원을 들여 통합한 국가 공간정보를 데이터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브이월드`가 민간에서 외면받고 있다. 민간 서비스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탓이다. 외국계 기업이 지도데이터 사용 유료화를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안책이 없는 국내 중소기업들은 브이월드보다는 울며 겨자 먹기로 구글맵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12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가 공간정보를 오픈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방식으로 제공하는 브이월드가 지난해 초 서비스를 시작해 올해로 2년째를 맞고 있지만, 이를 이용하는 민간기업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구글맵스를 능가하는 지도데이터를 민간에 제공,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업 활성화를 추진하겠다는 취지가 무색하다.

◇브이월드 서비스, 민간기업 이용 `전무`

브이월드는 지난해 초 시범서비스를 시작, 7월 본격화했다. 옛 국토해양부는 단순한 지도데이터뿐 아니라 지도와 건물 등에 포함된 각종 속성정보를 담아 제공하기로 했다. 이후 서비스 지역을 독도와 여수박람회장, 6대 광역시에서 전국으로 확대했다. 당시 국토부는 속성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국내 지도데이터만은 구글맵스 등 외국계 기업의 지도데이터를 뛰어 넘는 가치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브이월드 서비스 제공이 시작된 지 2년이 되지만 이를 이용하는 민간기업은 전무하다. 중소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114가 브이월드 지도데이터를 무료로 제공받아 내부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국 다음의 지도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 부동산114는 구글맵스 지도데이터를 이용했으나 유료화 정책으로 무료 데이터 서비스를 찾았다.

등산 포털 서비스에 브이월드를 적용하려 했던 블랙야크도 유료임에도 불구 구글 지도데이터를 이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외 현대자동차·삼성전자 등 민간 기업들은 여전히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내부 시스템에 외국계 기업으로부터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한다. 브이월드 서비스는 현재 국토부 요청으로 일부 공공기관에서 이용되는 정도다.

◇민간 요구 파악보다는 보이는 것 치중

브이월드 서비스가 무료이지만 민간기업으로부터 외면받는 이유는 민간의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당수 기업은 구글맵스 유료화 강화 정책으로 대안을 찾았다. 이를 대체하겠다고 서비스를 시작한 브이월드는 초기 민간기업에 필요한 2D 지도데이터가 아닌 3D지도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대상도 독도나 북한지역 등 `이벤트성` 지역이 우선이었다.

대기업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3D 지도데이터가 무료로 하더라도 내부 시스템 과부하로 인해 적용하기가 어렵다. 대부분 기업은 2D 데이터를 대외 서비스나 내부 업무에 적용하고 있었다. 민간기업 한 관계자는 “국토부가 민간에게 국가 공간정보를 제공, 산업을 활성화시키겠다는 생각보다는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보이는 것에 치중한 것 같다”고 꼬집었다.

API 방식이 불편한 점도 민간기업으로 외면받은 배경이다. 또 다른 민간업체 한 개발자는 “올해부터 브이월드에서 2D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지만 해당 데이터를 가져오면 이를 적용하기 위해 상당히 복잡한 맵핑 작업을 다시 해야 한다”며 “여기에 들이는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면 유료인 구글맵스가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브이월드를 운영하는 공간정보산업진흥원에 대한 국토부의 지나친 간섭도 문제다.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은 KT·NHN·다음·대한지적공사 4개 기업이 출자해 만든 민간기관이다. 그러나 국토부가 진흥원의 정책이나 운영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출자해 만든 민간기업들과 협업하기 보다는 브이월드를 경쟁관계로 가져가는 것도 문제다. 현재 일부 출자회사들은 투자 계획을 철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가 공간정보를 보유한 여러 기관과 협업, 공유를 유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국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의 민간 외면 배경/ 자료:업계 종합>

국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의 민간 외면 배경/ 자료:업계 종합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