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 나노 분야 특히, 반도체에 관심이 많았다. 교사 추천으로 나노프로그램 교육을 이수한 후 원하는 기업체에 취업할 수 있었다.” (대전공업고등학교 3년 손동현 학생)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11/12/497407_20131112141303_534_0001.jpg)
“고교 입학 후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 장래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다행히 적성에 맞는 나노인력 양성 프로그램에서 나아갈 길을 찾게 됐다.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 도움이 될 것이다.”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3년 조은아 학생)
취업률 100%에 도전하고 있는 `나노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특성화고교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프로그램 수료자 10명 중 9명이 쉽게 일자리를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지방자치단체, 지방교육청(경기, 대구, 대전, 광주, 경북, 전북)이 전국 6개 나노인프라 및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와 함께 지난 2012년부터 특성화고 대상 나노융합기술 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한 결과 교육과정 수료율은 94%, 취업률은 90%로 일반 특성화고 취업률 38.4%(올해 4월 기준)를 2배 이상 뛰어넘는다.
프로그램 참여기관은 지역별 나노 관련 전문기관인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나노기술원,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 대구TP 나노융합실용화센터 등이다.
이 프로그램은 나노융합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나노공정 및 측정분석 현장전문인력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마련됐다.
나노인프라의 첨단시설과 전문인력을 활용, 특성화고 3학년생에 나노융합기술 관련 공정·장비에 대한 실습중심의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과정은 기업체 수요를 반영한 나노융합기술 이론 및 실습 교육, 인성 등 기초소양교육, 취업 및 직업교육 등이다. 수료는 총 700시간 이상이다.
올해 정부예산이 전년 대비 40% 수준으로 줄었지만, 지방자치단체나 지방교육청의 예산배정이 되레 증가한 곳이 더 많을 정도로 성과가 우수하다.
지자체 및 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시범사업 대비 올해 40%, 내년 50% 수준으로 줄인 정부예산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각 참여학교 학부모들이 지자체와 정부 등에 건의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교육기관에서는 첨단 나노융합기술 분야 고가시설이나 전문교육 인력 등이 태부족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R&D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에 어려움이 많았다.
박찬경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회장은 “예산 문제로 어려움이 많지만 산업통상자원부, 지방자치단체, 지방교육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특성화고 학생에 대한 취업지원, 관련 기업체 고용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또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라는 최근의 사회적 트렌드와도 일치한다”며 “지역 중소기업 고용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