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제시못하는 보스형 CEO론 창조경제 못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직원보다 기업을 이끄는 CEO가 창조형 리더가 돼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비전과 미션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노동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 혁신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Photo Image
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회장은 30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과학기술포럼 월례토론회`에서 “우리나라 산업의 노동 생산성은 선진국의 절반 수준도 못미친다”며 “근로자 문제가 아닌 리더십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황 회장은 1993년 반도체 제조장비 제조업체인 주성엔지니어링을 창업한 벤처 1세대 CEO다. 20여년간 누적 연구개발(R&D) 비용으로 4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미래 시장을 개척한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이란 주제로 강연을 맡은 황 회장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산업을 이끈 사람은 대부분 `보스형`이었다”며 “창조를 하기 위해서는 문제 해결 방식을 정확하게 이끌어내는 `리더형` CEO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황 회장이 제시한 보스형 CEO는 목표를 세우지만 목표 성취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한다. 연구개발(R&D) 인력 등에 혁신을 요구하고 스스로 창조하지 못해 노동 효율을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한다. 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이 미국 대비 46% 수준에 불과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 경제가 GDP 4만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리더형 CEO가 산업을 이끄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 황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임직원은 창조보다는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벤처와 중소기업도 성장하기 위해서는 CEO 중심으로 창조 인프라를 조성해야한다”고 말했다. 모방과 개선을 통해 `2만달러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면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1%를 실천해 창조와 혁신으로 성장하는 것이 `4만달러 대한민국`을 위한 과제다.

리더형 CEO는 미래 성장동력도 제대로 발굴할 수 있어야 한다. ICT, 반도체, 자동차, 조선, 중공업 등 지금 우리나라 주력 산업은 과거 일본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 중국 신성장 산업 가운데 90% 이상이 우리나라와 중복된다는 것이 황 회장이 우려하는 산업 동력 문제다.

황 회장은 “중국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 투자 대비 30배 이상 많은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며 “동일한 산업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황 회장이 제시한 미래 성장 동력 산업은 `슬로(Slow)` 산업이다. 24시간 365일 노동하는 산업은 오늘날 창조 경제에 적합하지 않다. 농업·어업 등 1차 산업과 인프라·ICT 분야의 2차산업, 서비스 분야 3차산업이 융·복합돼 행복지수가 높은 창조 산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황 회장은 “행복지수에 초점을 둔 `슬로 산업`이 힘들고 고생스러운 `노동`을 즐겁고 행복한 `일`로 전환시킬 수 있다”며 “1차산업과 과학기술·ICT가 만나 높은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