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후 가장 왕성하게 활동중인 장관을 꼽으라면 단연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다. 장관 인선 지연으로 이제서야 조직 편제를 마무리한 부처도 있는 마당에 윤 장관은 취임 직후부터 일에 투신했다. 통상 업무를 다시 이관받은 데 따른 혼란도 없어 보인다. 장차관 모두 내부 승진이라 업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도 있었으리라. 일각에선 윤 장관의 보폭을 놓고 `너무 공격적`이다, `과속`이다, 여러 말들도 나왔다. 하지만 한 부처 수장이 주변 눈치 안보고 일에만 몰입하겠다는데 비딱하게 볼 이유는 전혀 없다.
덕분인지 지난 두달 간 윤 장관은 현 정권의 야전 사령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의욕이 넘친다 싶을 만큼 현장을 찾았고,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을 거침없이 이슈화했다. 주위 시선은 아랑곳 않고 “해야 할 일 하고, 할 말은 한다”는 확신에서다. 박근혜정부가 출범 두달 간 안팎의 악재에 혼선을 겪는 사이 실물 경제 부처 수장으로서 제 몫 이상을 해 내는 모습이다. 대통령의 의중을 전달받았든, 제대로 읽었든 청와대로선 칭찬해줄만하다.
그런데 여기까지다. 아직은 뭔가 허전하다. `지식경제부`라면 모를까 창조경제라는 화두를 풀어낼 `산업통상자원부`의 역할론을 생각하면 부족해 보인다는 뜻이다. 한달 전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5대 정책 과제로 제시한 것이 산업 융합 확산을 통한 성장 동력 창출, 협력 생태계 조성으로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지역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산업-통상 연계로 글로벌 시장 개척, 안정적 에너지 시스템 구축 등이다. 통상을 제외하면 지경부 시절 정책 비전과 별반 다를 게 없다. 창조의 뉘앙스만 살짝 포장했을 뿐이다.
당장 동반성장 정책만 해도 마찬가지다. 동반성장은 창조경제의 최우선 선결 조건이라는 점에서 중차대한 과제다. 그러나 사실 해묵은 이슈이기도 하다. 과거 노무현정부 시절 `상생`이란 단어로 우리 산업계에 처음 공론화됐다. 이명박 정권 이후 동반성장, 경제 민주화로 명칭이 바뀌었을뿐 본질은 똑같다. 10년 전에 비해 나아지긴 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큰 숙제라는 뜻은 결국 정책 실효성이 없었거나 실천력이 부족했다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산업부만의 책임은 아니다. 그래서 이제 다시 윤 장관이 총대를 멘 동반성장 정책은 구호에 머물지 않고 강력한 실천력으로 이어지길 진정 바란다.
나아가 윤 장관과 산업부는 창조경제의 조력자가 아니라 개척자가 돼야 한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연 역할을 맡았지만 실타래를 푸는 일은 산업부의 책무다.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는 산업 정책을 도맡고 있기 때문이다. 주력 산업에 창조를 접목시켜 창조경제의 거대한 저변을 구축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성급한 평가이자 결코 쉽지 않은 숙제라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윤 장관의 미션이다.
서한기자 hse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