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동남권

동남권은 `정부 국정 과제와의 연계 대응`, `지역경제 특화 경쟁력 강화`라는 투 트랙으로 광역 창조경제 시대를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부산시는 지난달 말 `새 정부 국정방향과 부산의 대응과제 세미나`를 열고, 부산 창조경제 구현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이날 부산발전연구원은 부산 창조경제를 위한 4개 핵심과제와 5개 시정과제를 제시했다.

Photo Image
부산, 울산, 경남은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 강화를 기반으로 지역 창조경제 시대를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사진은 울산과학기술대학교의 연구개발 모습.

4개 핵심과제는 `부산 금융 중심지 육성`, `방사선 의과학 산업벨트 구축`, `부산 신발산업 세계적 명품화`, `아·태 클라우드컴퓨팅 허브 구축`이다. 부산에 해당하는 대통령 지역발전 공약 및 국정 과제에 해당한다.

시책과제는 `지역 전략산업의 창조경제형 구조 개편`, `일자리 창출형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산업 경쟁력 제고` 등이다.

부산시는 핵심·시책 과제를 중심으로 부산 창조산업군을 발굴 육성하고 정〃관·산·학·연 합동 추진단 구성과 운영, 부서 칸막이 제거 등 세부 실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울산발전연구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창조인재 육성`을 위한 분야별 7대 과제를 도출했다. 울산 창조경제 시대를 위한 7대 과제는 일자리 중심의 경제정책, 고령화 시대 노후생활복지, 지역 평생학습비전, 문화도시 실현, 통합안전망 구축 등이다.

경남도는 지역산업 고도화를 통해 지역 창조경제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0년까지 `세계 5대 기계강국 실현을 위한 기계산업 고도화`, 밀양을 중심으로 한 `나노광학의 미래성장동력산업화`, 재료연구소의 첨단 소재 연구 성과를 지역 부품소재 기업에 접목한 `선진국형 부품소재산업 육성` 등이 핵심이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