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바이러스가 간 재생 막는 원리 밝혀내

국내 연구진이 간염 바이러스로 간질환이 생기는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간염 바이러스가 간 재생을 막는 구체적인 현상을 밝혀 바이러스성 간질환 예방과 치료의 단서가 될 전망이다.

Photo Image

김균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간염바 이러스가 만드는 단백질(HBx)이 간 재생에 필요한 유전자(uPA)를 조절해 간 회복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간질환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병이다. 대부분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시작해 간염, 간경화, 간암 등을 일으킨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간세포가 파괴돼 염증이 생기고 간 재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간질환이 일어난다. 지금까지 바이러스가 간 재생을 막는 구체적인 원리는 알려지지 않았다.

김 교수팀은 DNA 염기서열 자체는 바뀌지 않지만 특정 원자단(메틸기)과 결합해 염기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염기 변형으로 간 재생을 돕는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다. DNA를 이루는 염기에 메틸기 등이 붙어 화학적 변형이 일어나면 염색질 구조가 느슨해지거나 탄탄해지는 등 구조 변형으로 이어진다.

동물 실험결과 HBx를 만들지 못하는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간 재생 유전자(uPA)가 감소하지 않았다. 간 재생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보충해 준 결과 간이 정상적으로 복귀되는 것을 확인했다.

김균환 교수는 “간염 바이러스가 간질환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힌 것”이라며 “연구를 통해 간질환 유발 단백질을 조절해 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