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데탕트

“그린 데탕트” 박근혜 대통령이 에너지·환경 정책과 관련 제시한 키워드다. 그린 데탕트는 비무장지대, 백두산 화산 등에 대한 공동 연구와 개성공단 신재생에너지 단지 등 남북한 환경공동체를 건설하자는 계획이다.

Photo Image

비단 남북한 관계를 떠나 지금 우리나라 에너지·기후변화 정책에도 그린 데탕트가 시급히 필요하다. 얼마 전 확정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두고 에너지 계와 환경 계는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한쪽은 에너지 안보를 위해 발전설비 확충을 말한다. 다른 한쪽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더 이상의 발전설비 확충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22일 `배출권거래제준비기획단`이 발족한 날 우연치고는 신기하게도 에너지·기후변화 이슈와 관련해 `정반합`이란 단어를 서로 상반된 분야에 종사하는 관계자들로부터 연이어 들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전력설비 확대는 환경보호와 상반된 이슈를 생산할 수밖에 없는 만큼 이 둘을 모두 고려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정반합`을 얘기했다. 환경 관계자 역시 “발전소 증가로 기후변화 대응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두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정반합의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새 정부가 강조하는 융합의 가치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그동안 에너지와 환경이 각자의 자리에서 정책을 펼쳐왔다면 이제 그 정책의 융합이 요구되는 시대가 왔다.

실마리를 녹색 친환경 기술에서 찾을 수 있다. 고효율 친환경 발전기술, 스마트그리드, 탄소저감 기술 등 이미 수년전부터 에너지 생산과 유통, 처리에 있어 효율을 높이고 부산물을 줄이는 노력이 있었다. 에너지업계는 고효율 기술을 통해 발전설비를 적게 확충하는 전략을 짠다. 환경업계는 탄소저감 기술 등을 감안해 발전소 확대에 현실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데탕트, 정반합, 융합 모두 다른 뜻을 가지고 있지만 상호 인정하는 하나의 해결점을 찾아간다는 의미는 같다. 상반된 두 이슈가 커다란 하나의 공통 결론에 다다르기 위해선 무엇보다 상대방에 대한 경청이 필요하다. 에너지계와 환경계는 더 이상 서로를 견제가 아닌 협력 대상으로 인식해야 한다. 대통합의 시대에 걸맞은 에너지와 환경의 중장기적 소통 정책이 나와 주길 기대한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