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리튬이차전지 양극소재 원천기술 확보

우리나라 연구진이 기존 리튬 2차전지에 쓰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대체할 양극물질을 개발했다. 차세대 리튬 소재기술 특허 분쟁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원천기술을 확보해 리튬 2차전지 국산화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Photo Image

강기석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불소와 산소 함량을 조절해 높은 전압을 가지는 리튬 2차전지용 신규 양극소재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강 교수팀은 기존 리튬전지에서 양극재로 사용하는 코발트 산화물 대신 바나듐 불소화인산염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코발트 리튬전지보다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바나듐 리튬전지를 이용해 오래 사용해도 안정된 구조를 갖는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코발트 리튬전지는 전지 충전과 방전시 물질 구조가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새 양극물질 개발이 활발하다. 철·인산염을 양극재로 쓰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철·인산염 기술은 원천 특허권을 둘러싸고 미국 `A123`과 캐나다 `하이드로퀘벡`이 분쟁 중이다. 강 교수는 “차세대 양극재로 부각된 철·인산염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분쟁 결과를 지켜봐야 하며 분쟁이 끝나더라도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팀이 개발한 바나듐 양극재는 철·인산염만큼 안정성을 보이면서 에너지 밀도는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는 같은 부피로 만들었을 때 더 많은 전력을 담을 수 있다. 바나듐이 철·인산염 양극 소재보다 재료 가격이 비싸다. 공정 단계에서 비용 절감이 관건이다. 강 교수는 “공정 단계 비용을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국내 한 대기업과 기술 협력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온라인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4일자에 게재된다.


리튬 2차전지=휴대폰·노트북 등 같은 소형 정보통신 장비 전원장치로 널리 쓰인다. 가벼우면서 많은 양의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차세대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 장치로도 기대됐다. 리튬이차전지는 리튬이온을 저장·방출하는 전극물질과 리튬이온 이동을 돕는 전해질로 구성됐다. 양극재는 리튬전지의 소재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중(44%)을 차지한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