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구글TV를 앞세워 스마트TV사업 스타트를 끊었다. 국내 증시 관심도 벌써부터 누가 시장을 주도하고 수혜를 입느냐에 쏠렸다.
단기적으로 TV제조사는 물론 부품 공급업체에 수혜가 돌아가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콘텐츠업체가 수혜의 종착점이 될 전망이다.
◇초기시장은 하드웨어(HW) 수요 집중= TV제조, 셋톱박스, 리모컨, 부품업체 등이 초기 스마트TV 판매에 따른 효과를 얻을 전망이다. LG전자의 경우, 구글 진영에서 최초로 기기를 제조한다는 점에서 판매에 따른 적잖은 수혜가 예상된다. 이어 수혜가 예상되는 곳은 셋톱박스와 리모컨 업체가 꼽힌다.
이성주 삼성증권 연구원은 “스마트TV에서 가장 큰 하드웨어 변화는 메모리와 셋톱박스 탑재, 리모컨 등이다”며 “이 중 가장 큰 수혜는 셋톱박스와 리모컨 변화에 있다”고 진단했다. 셋톱박스 업체로는 휴맥스와 가온미디어를 수혜주로 꼽았다.
리모컨은 하드웨어로서 가장 큰 변화 요인이다.
이 연구원은 “스마트TV에서 검색은 기존 TV 리모컨으론 대체할 수 없다”며 “마우스를 이용한 검색이 유력하기 때문에 옵티컬트랙패드(OTP) 업체인 크루셜텍 등이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패널, 부품업체 수혜는 미미하거나, 본격화까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초기 스마트TV 가격이 수백만원에 달하는 고가로 판매되기는 어려워 오히려 기존 고가 TV제품 판매량이 이들 업체에 더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수혜 종착지는 역시 콘텐츠= 스마트폰 변화에서 드러나듯 플랫폼 경쟁은 스마트TV 주도권의 핵심이다. 애플이 스마트폰시장 진입과 함께 제조사는 물론 통신시장 주도권 마저 빼앗았듯 스마트TV 역시 플랫폼을 누가 주도하느냐에 달려있다.
휴대폰 제조 기반이 없던 애플이 디자인과 콘텐츠 전략만으로 시장을 주도했듯 스마트TV 역시 콘텐츠가 승부의 관건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스마트폰이 라이프 스타일과 산업 패러다임을 단번에 바꿨듯 스마트TV 역시 그럴 가능성이 짙다”며 “시장 승부는 구글과 애플, 삼성전자 등 플랫폼 경쟁에서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교육과 게임 등 콘텐츠 업체 수혜가 예상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우철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스마트TV 보급이 늘어나면 PC와 TV 경계는 아예 사라지면서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보급은 더 확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교육부문은 온라인을 통한 양방향 교육 수요가 늘어날 것이고, 게임은 플랫폼이 PC에서 스마트폰과 TV로 확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