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대지진 1년] 세계 원전 지도 어떻게 바뀌고 있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국제 에너지산업의 근간을 뒤흔들었다. 수많은 환경단체가 원전 위험성을 강조하며 발전소 폐지를 외쳤고 실제로 독일·일본·이탈리아 등 몇몇 국가는 원전 포기의사를 밝혔다. 다른 여러 나라도 원전 축소정책을 고심하며 에너지산업에서 20년 넘게 이어온 원전의 르네상스 시대는 이렇게 저무는듯 했다.

1년이 지난 지금, 세계 원전산업은 반전 분위기다. 원전 폐지 여론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지만 대다수 국가는 원전 유지 정책을 펼치며 공세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원전 유지 정책은 원전 시장을 주도해 온 선진국과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전력수요가 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한국형 원전건설 협력 얘기가 오가고 지난달부터 터키 원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는 사례를 봐도 세계 원전 정책이 포기가 아닌 유지로 가닥을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 정부가 30여년 만에 신규 원전건설을 승인한 것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규 원전사업을 중단한 중국도 늘어나는 전력수요와 환경오염 대안으로 원전 심사와 착공을 재개하려는 움직임이다. 신흥 개도국인 브라질과 인도는 안전성 강화를 전제로 원전 계획을 유지하고 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도 원전 도입을 추진하려는 모양새다.

반면에 원전 포기를 결정한 국가는 독일·스위스·이탈리아 정도다. 대재난 당사국인 일본도 원전을 축소한다는 정책방향을 잡고 있지만 아직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원전 반대여론 못지않게 독립된 전력망과 에너지의 안정 공급을 감안하면 원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강하기 때문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후쿠시마 사고에도 세계 원전산업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후쿠시마 사고 1년, 세계 원전 정책은 유지와 포기 두 갈래로 나뉘고 있지만 다수 국가는 △에너지수요 증가 △기후변화 대응 △화석연료 고갈 문제로 유지와 확대라는 선택을 하고 있다.

원전 시장 확대가 예상되면서 주요 선진국은 산업 기술력과 시장점유율 유지 차원에서라도 원전을 포기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내부적으로는 원전 축소를 외치면서도 해외 원전 신규사업에 참여하는 일본이 대표적이다. 전문가들은 2030년까지 신규 원전 도입국에 대한 국가별 수주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배상하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기획총괄실장은 “미국의 신규 원전 승인처럼 최근 세계 동향이 원전 유지 정책으로 흐르고 있다”며 “각국 원전 정책 동향 정보를 수집해 원전 수출산업화를 지속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