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최대 규모 망분리 사업으로 주목받았던 우정사업본부의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망 분리 사업’ 프로젝트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 가상화 망분리 사업이 당초 프로젝트 완료 목표일인 11월 말보다 한 달 넘게 지연돼 지체 보상금이 부과되는 등 주사업자가 고전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대규모 망분리 사업에는 KT·안철수연구소·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주사업자가 됐다. KT는 안철수연구소의 PC 기반 가상화 망분리 솔루션을 적용했다. 지금까지 망분리 사업은 대부분 서버기반컴퓨팅(SBC) 가상화 솔루션을 적용해 왔다.
이번 사업은 안철수연구소의 PC 기반 가상화 망분리 제품이 대규모로 첫 적용돼 그 결과에 업계 관심이 높았던 사업이다. 하지만 안철수연구소에서 제공키로 한 PC 기반 가상화 망분리 제품의 배포가 늦어진 것이 프로젝트 지연 원인으로 지적된다.
안철수연구소는 PC 가상화 기술과 가상화 전용 하드웨어를 통합한 어플라이언스 형태의 융합제품 ‘트러스존’을 공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기간 내에 제품 배포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했다. 회사는 사태 조기수습을 위해 100여명의 인력을 긴급 투입했다.
안철수연구소 측은 “사업규모가 대규모인 데다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일정이 다소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프로젝트 진척률은 90% 남짓이고 이달 말까지 설치 완료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프로젝트 발주처인 우정사업정보센터 측은 “전국 모든 PC에 적용하다 보니 가상화 프로젝트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특별히 문제되는 부분이 없어 현재 정상가동되고 있고 감리는 이미 이달부터 착수했다”며 프로젝트 지연설을 일축했다.
우정사업본부 사업은 우정사업정보센터 산하 전국 3만5000대 PC를 대상으로 한 망분리 사업으로 총 90억원이 투입되는 국내 공공기관 최대 규모 사업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해 해킹 및 바이러스, 정보유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보안성 및 안정성이 강화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우정사업본부 망분리 사업은 최대 규모였을 뿐 아니라 향후 공공기관 가상화 망분리 사업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프로젝트였다”면서 “하지만 프로젝트가 지난해 말부터 난항을 겪게 되자 망분리 사업을 계획했던 국방부 등이 사업을 연기하는 등 다른 정부부처에 적지 않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했다.
<표>우정사업본부의 인터넷망 분리 사업 현황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