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전면 실시, 2013년 음폐수 해양투기 금지 규제 실시를 앞두고 음식물 처리기 시장 확대가 예상되나 전력소모·처리물 재활용 등에 대한 기준이 없어 관련 업계가 애를 먹고 있다.
수 년 전 과도한 전력소모와 소음 등으로 소비자 인식이 나빠져 시장이 축소됐기 때문에 대상 인증을 확대해 인식을 재정립하고 오해를 불식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내년까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되고 2013년부터 실시되는 음폐수 해양투기가 금지될 예정이어서 음식물 처리기 시장이 다시 부상할 전망이다.
그러나 에너지 효율등급, 처리 후 부산물의 재활용 가능 여부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소비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선보인 음식물 처리기 관련 인증은 음식물처리기를 별도 카테고리로 설정한 환경마크, K마크에 불과하다. 환경마크는 절전·저소음·폐기물 감소 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K마크는 전력 소모, 부산물의 수분 함량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인증만으로는 제품 간 변별력이 약하고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저장·활용하기 위한 기준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일반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은 에너지 효율 등급 대상에도 포함돼 있지 않다.
국내 음식물 처리기 시장은 지난 2006년부터 본격 형성됐으나 전기 사용량이 막대하고 소음, 긴 처리시간, 미흡한 냄새 처리 기능 등으로 점차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시장 활황 때에 40~50개 기업이 제품을 공급했으나 현재 웅진코웨이·교원L&C·동양매직·매직카라 등 10여 곳에 불과하다.
음식물 처리기는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부산물을 재생 에너지 연료로 재활용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음식물 쓰레기 중 80%는 음폐수인데 각 가정과 식당에서 음폐수를 자체 처리하면 해양 투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부산물을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전력회사·보일러 제조사 등에도 이롭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지만 과거 ‘전기 먹는 하마’라는 악칭까지 붙을 정도로 시장 이미지는 안 좋다. 때문에 업계는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에너지 효율 인증 대상 지정, 부산물 재활용 및 자원화 가능 여부 기준 마련 등을 통해 소비자 판단 기준을 다양하게 제시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가 제품 성능과 효과를 쉽게 알 수 있는 정부 인증이 극히 적다”며 “친환경 정책에 부합하는 제품인 만큼 인증 대상을 확대해 저가·저성능 제품이 다시 시장을 어지럽히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을 담당하는 안성일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과장은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지정관리 필요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며 “국내외 시장 상황, 산업계 영향을 비롯해 인증 규제 때문에 기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과 시간 부담 등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