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안전, 유비쿼터스 공공서비스가 지킨다]국민 안전, u공공서비스가 지킨다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모바일 국가재난안전정보센터 구축 전후 비교

 #가족과 함께 여행길에 오른 A씨. 지방으로 가던 중 ‘10시 30분 ○○시 호우경보 발령, 시간당 100㎜ 이상 집중호우로 도로침수 피해우려’란 문자를 받았다. 스마트폰 ‘모바일 국가재난안전센터’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 긴급 재난상황 문자를 받은 것. A씨는 스마트폰으로 주요 도로 침수·교통상황을 확인하고, 여행지를 급하게 변경했다. 앱 덕분에 오랜만에 맞이한 가족여행을 안전하게 보낼 수 있었다.

 

 공공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정부가 각종 재난에 대비해 정보기술(IT)을 접목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만의 추세는 아니다. 선진국도 앞 다퉈 진행 중이다. 자연재해·테러·전염병 등 사회적 위기와 재난에서 국민을 지키기 위해 IT 등 정보시스템을 적극 활용한다. 긴급 상황 발생시 국민이 재해정보를 공유하고 적극 대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춘다.

 ◇IT로 재난대응력 높인다=정부는 긴급구조 및 재난상황 발생시 최신 IT를 활용한 방재시스템으로 국민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이 추진하는 스마트폰 위치기반기술을 활용한 긴급구조 및 재난 대응이 대표적 사례다.

 긴급 재난상황 발생 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응 방식이 119 신고다. ‘긴급구조 표준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 시스템을 최근에는 스마트기기 보급에 맞춰 다양한 통신 환경에 적합한 신고 방식으로 바꿨다. ‘119다매체신고 서비스’로 기존 음성통화 위주 신고체계에서 문자와 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신고할 수 있다. 3G영상전화, 문자, 동영상으로 신고를 해, 생생한 현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청각장애인 등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주변상황으로 음성통화가 곤란한 경우에도 긴급한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정부는 “국민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해, 출동시간 단축을 통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모바일 국가재난안전정보센터 앱도 활용도가 높다. 중국 지진피해와 일본 쓰나미, 원전사고 등 연이은 대규모 해외 재난 발생으로 국민 위기의식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여파로 국가에서 관리하던 재난 관련 정보를 국민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있다. 그 대안이 바로 ‘모바일 국가재난안전정보센터’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앱을 내려 받으면, 재난 유형에 따른 행동요령과 병원·대피소를 비롯한 전국 재난 CCTV영상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재난현장 상황정보를 국민이 직접 지자체 등에 신고도 가능하다.

 ◇u서비스가 피해를 줄인다=자연재해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노력 여하에 따라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정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대표적인 것이 소방긴급출동 영상〃방송시스템이다. 최근 건축물 대형화 및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대형사건·사고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현장 대응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고수한다면, 효율적 대응이 힘들다. 사고 발생시 조기대응은 재난 규모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상황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수집은 발생한 재난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조기진압 성공률을 높인다. 이를 위해 추진중인 사업이 소방긴급출동 영상〃방송시스템이다. 시범 구축 중으로, 올해 경기소방재난본부 및 6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소방대원은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화재·구조 현장에 투입된다. 단말기는 현장 촬영은 물론 온도를 측정해 전달한다. 현장 지휘차량에는 재난상황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고성능카메라가 장착됐다. 현장 도착과 동시에 재난 발생상황을 실시간으로 상황실 및 소방서장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재난현장 실시간 공유시스템 구축으로 현장 지휘체계를 강화하고, 동시 다발적 현장 정보를 통합 관제해 재난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해구호물자 통합정보시스템도 효과가 크다. 이재민 구호물자는 전국재해구호협회 및 대한적십자사에서 생산 및 입출고 관리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정물량을 보관했다가 재해발생시 구호물품을 재해 현장에 보급한다. 구호물자관리는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서 일부 정보를 관리하나, 생산·보급·재고 등 상세 정보는 오프라인 대장으로 확인해왔다. 이제는 바뀌었다. 전자태그(RFID)기술을 활용한 구호물자 비축관리 및 유통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구호물자 입·출고 이력관리가 자동화됐다. RFID 추적 및 관리로 정확한 물자 현황정보와 구호물자 소요량 산정, 수급현황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 공무원이 현장에서 구호물자 현황 파악과 신청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u서비스 사업 효과 ‘톡톡’=정부는 2004년부터 유비쿼터스(u) 기반 공공서비스 사업을 펼치고 있다. 119다매체신고서비스, 모바일 국가재난안전정보센터, 소방긴급출동 영상〃방송시스템, 재해구호물자 통합정보시스템 등은 올해 성과물들이다.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이 공동으로 추진했다. IT에 RFID 등 신기술을 접목해 대형화·다양화 되는 재난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들 사업은 또한 민간산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공공서비스에 새로운 IT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접목함으로써 이들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IT강국인 우리나라가 IT를 활용해 재난관리체계를 강화함으로서 재난업무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자료:행정안전부

Photo Image
Photo Image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