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한반도는 아열대…기온 3.2도 상승

탄소 배출량이 현재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경우 2050년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이 3.2도 상승하고 강수량은 15% 이상 증가하는 등 전국이 아열대 기후화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00년간 한반도의 기온이 1.8도, 전세계 평균기온은 0.75도 올라간 점을 고려하면 온난화 진행 속도가 그만큼 빨라진다는 뜻이다.

국립기상연구소(NIMR)는 2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 전망 및 기후변화 영향` 세미나에서 2100년까지 우리나라의 기온과 강수량, 해수면 높이 등 기후변화를 전망해 발표했다.

연구소는 우선 2050년에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3.2도 오르고 2100년에는 6.0도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2100년까지 전세계 기온의 상승 전망치는 4.8도다.

특히 2020년까지 10년 동안 적게는 0.6도에서 많게는 1.5도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강수량은 2050년에 15.6%, 2100년까지 20.4% 늘고, 해수면의 높이도 각각 27㎝, 78㎝ 올라갈 것으로 분석됐다.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은 1963년부터 2006년까지 43년간 8㎝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온난화로 인해 현재 한 해 평균 8.8일인 폭염일수는 2050년 25일로 3배 증가하고 열대야 역시 현재 5일에서 30일로 6배나 늘 것으로 연구소는 내다봤다.

2050년에는 서울과 부산의 기후가 비슷해지는 등 우리나라 내륙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에 따라 서울을 기준으로 겨울이 27일 줄어드는 반면 여름은 19일 늘어나고 제주도와 울릉도는 겨울이 아예 없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전망은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가 지난해 국제표준 온실가스 시나리오(RCP) 가운데 탄소저감 노력 없이 현재의 경제성장을 이어갈 경우(RCP 8.5)를 가정하고 최신 탄소배출량 수치를 대입해 도출한 결과다.

권원태 국립기상연구소장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홍수와 폭염, 폭설, 가뭄 등 극한기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강도도 세지는 추세"라며 "기후변화가 언제쯤, 어디서, 어떻게 일어날지 예측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시나리오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탄소배출량이 일정 정도 감축된 경우(RCP 2.6, 6.0)를 포함, IPCC가 내놓은 시나리오 4가지를 내년까지 모두 적용해 한반도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쓰도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