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대만, 이스라엘도 정부와 연구소, 대학 등이 주체가 돼 기술창업 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는 이상적인 기술창업의 발원지다. 1900년대 초 과수원과 농경지, 황무지였던 실리콘밸리는 1920∼1930년대 프레데릭 터만 스탠퍼드대 교수가 제자들과 함께 기술형 창업 지원에 나서면서 세계적인 벤처밸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1960년대 이후 세계 IT 산업과 혁신의 메카로 자리잡았다. 현재는 HP, 인텔, 애플 등 세계적인 IT기업이 이 곳에 몰려있다.
스탠퍼드대학과 UC버클리, 샌프란시스코, 산호세대학 등이 이 지역 청년 지식 기술 창업을 주도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스탠퍼드대학의 기술벤처 프로그램(STVP)과 바이오디자인 프로그램이다. 기술벤처 프로그램은 엔지니어링, 법학,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 전공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UC버클리도 기업가정신과 혁신을 위한 레스터 센터와 벤처랩, 인텔+UC 버클리 기술창업도전(IBTEC)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청년 지식기술 창업 관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IBTEC는 인텔과 UC버클리대학이 공동으로 세계 정상급 공과대학과 비즈니스 스쿨로부터 창업 팀을 발굴하기 위해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세계 최고 연구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경연 참가자와 그들이 속한 기관이 기술창업을 통해 세계 무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실리콘밸리 심장부에 위치한 플러그 앤드 플레이테크센터도 주목할만한 지식기술 창업 공동체다. 모두 280여개 이상 기술창업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2006년 설립 후 지금까지 총 7억달러 이상 재원을 벤처에 투자했다. 기업들이 이 자금을 지원받아 창출한 가치가 20억달러를 넘는다.
대만은 경제부 산하 공업기술연구원(ITRI)을 통해 기술창업 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1973년 신주과학단지에 설립된 ITRI는 대만 경제를 고부가가치 IT 지식기반 사회로 전환시키는 핵심 역할을 했다. 자체 보유 특허만 1만5800여건에 달한다. 특허 활용률도 29%나 된다. 오픈랩(개방실험실 프로그램)을 통해 사업초기 부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설비 활용 기회를 제공한다.
14년간 이 곳을 거쳐 설립된 기업은 163개다. 이 중 44개 업체는 현재 사이언스파크에 입주했고, 14개 업체는 대만 증시에 상장됐다. 세계 1,2위 파운드리업체인 TSMC와 UMC도 ITRI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성장했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개발하기 힘든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업에 이전해 상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ITRI 역할이다.
ITRI가 전액 출자해 설립한 대만 최초의 벤처캐피털 ‘ITIC’는 기술창업 벤처에 든든한 자금줄이다. ITRI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하는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투자해 IPO단계까지 지원한다. 현재 조성된 펀드 규모는 250억달러로 투자기업(누적치)만 200여개에 달한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대만 증시에 상장된 기업만 50여개나 된다.
이스라엘도 세계적인 벤처기업 대국이다. 산업통상부 등 주요 경제관련 부처에 수석과학관실인 ‘OCS(Office of the Chief Science)’를 두고 연구개발 등 기술 창업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이스라엘에 유입되는 세계 유태인 중 혁신적인 과학자 및 기술자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숙련된 러시아 출신 이민자들이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자본주의 경제에 성공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스라엘은 1991년 관제 벤처캐피털 ‘요즈마’를 설립, 창업 활성화의 물꼬를 텄다. 이 펀드를 통해 자본 없이 아이디어만으로 출발하는 벤처의 종자돈을 정부가 부담, 제품 개발에 따른 리스크를 줄였다. 기업이 개발에 실패할 경우 책임을 지지 않도록 하고, 성공한 벤처기업에만 투자 로열티를 환수함으로써 창업을 촉진시켜 갔다.
김선우 중소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우리와 비슷한 대만 ITRI가 기술창업이 활발한 이유는 인력 유출입이 쉽고 사업에서 실패하더라도 언제든지 연구소로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도 고급 연구인력이 창업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 주요 국가 기술창업 지원 현황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