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평가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3년 연속 상승하며 세계 2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한 계단 상승한 것으로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IMD가 17일 공개한 ‘세계경쟁력연감 2011’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종합 국가경쟁력은 조사 대상 59개 국가 및 지역 경제 가운데 22위를 기록했다. 지난 2009년 27위에서 2010년 23위로 4계단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계단 추가 상승한 것이다.
IMD가 평가한 한국의 종합 국가 경쟁력 순위는 △2003년 32위 △2004년 31위 △2005년 27위 △2006년 32위 △2007년 29위 △2008년 31위로 등락을 반복하다 이후 3년 연속 상승하면서 1997년 IMD의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4대 평가부문별로는 정부효율성(26위->22위)과 기업효율성(27위->26위)이 순위상승을 주도했으며 경제성과(21위->25위)는 하락했다. 인프라구축(20위->20위)은 지난해와 같은 순위에 머물렀다.
정부효율성은 사회적 여건이 개선(49위->38위) 되고 공공재정(19위->16위), 재정정책(13위->11위) 등이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정부 효율성 순위는 30위 밖에 머물며 종합 순위를 끌어내렸다. 하지만 지난해 10계단, 올해 4계단 빠르게 순위가 올라가며 올해 우리나라 종합순위 22위와 동일한 수준에 도달했다.
기업효율성에서는 경영활동 부문(27위->29위)만 하락하고 형태가치(22위->18위), 금융(30위->28위), 노동시장(35위->34위) 등은 개선됐다.
경제성과 부문은 국제무역(22위->16위)은 개선됐으나 물가부문의 약화(41위->52위) 등이 주요하락요인이었다.
인프라구축 부문은 광대역 통신망 가입자수(3위), GDP대비 기업의 R&D투자(5위), GDP대비 총 R&D투자(5위)은 높은 순위를 기록한 반면 인터넷대역폭속도(45위)와 이동통신 가입자수(41위) 등은 약점으로 꼽혔다.
국가별 순위로는 미국과 홍콩이 공동으로 1위를 차지했고, 지난해 1위였던 싱가포르는 3위로 내려앉았으며, 스웨덴과 스위스, 대만, 캐나다, 카타르, 호주, 독일 등이 상위 10걸에 이름을 올렸다.
일본은 2009년 17위에서 지난해 27위로 10계단 하락했다가 올해 1계단 상승한 26위를 차지했다. 조사 대상국 가운데 최하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베네수엘라였고,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가 46위에서 56위로 10계단 급락했다.
IMD는 올해 한국의 정책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 △인플레 완화와 노동자 생활수준 향상 △공공부채 관리를 통한 재정건전성 향상 △G20 서울 정상회의 어젠다 이행 등을 꼽았다.
IMD세계경쟁력연감: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별 경쟁력 평가 보고서’ 등과 함께 각국의 경쟁력을 비교해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1989년 시작됐으며 해당 국가 지역 경제의 공식 통계(3분의 2)와 민간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3분의 1)를 분석, 국가 경쟁력 순위를 도출한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MD 평가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
권상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