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4G 코리아의 반란]4회/제2 스마트폰 쇼크는 없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이통 3사 망 진화 동향

 지난 2009년 ‘찻잔 속의 태풍’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애플의 아이폰은 국내 통신 환경에 엄청난 쇼크를 불러왔다. PC에 버금가는 지능과 혁신적인 사용자환경(UI), 인터넷과 결합한 아이폰이 시장에 선보이자 사용자들은 열광했다.

 아이폰 상륙 이후 불어닥친 엄청난 스마트폰 파장은 국내 통신시장의 지각변동을 가져왔다. 삼성전자·LG전자 등 피처폰에 안주했던 제조업체는 심각한 시장 잠식을 경험했고, 한발 앞서 아이폰을 도입했던 KT는 일약 통신시장을 주도하는 입장이 됐다.

 이후 SK텔레콤은 삼성전자의 갤럭시S를 통해 분위기 반전에 나서며 대대적인 스마트폰 보급에 나섰다. 스마트폰은 산업과 사회·문화적으로 최대의 화두였다.

 지난해 말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는 717만명을 넘어섰다. 2009년 말 기준 70만명이던 것을 감안하면 1년 만에 10배가 넘는 성장을 이뤄냈다. 올해 통신 3사의 스마트폰 가입자 목표는 2000만명이다.

 스마트폰 확대는 데이터 트래픽 폭발을 가져왔다.

 이통 3사의 트래픽 역시 지난해 말에는 연초 대비 10배 이상 늘었다. SK텔레콤, KT 모두 스마트폰 이용자의 1인당 트래픽은 평균 500MB를 넘었다. 특히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이후 트래픽은 급격히 증가했다.

 올해는 스마트패드(태블릿PC)와 같은 새로운 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뿐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지능통신 등 무선 인터넷이 산업에 본격적으로 활용되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같은 트래픽 폭증에 대비하기 위해 통신사들은 대대적인 인프라 고도화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작년 수도권 3G 네트워크 주파수를 기존 4FA를 6FA로 늘렸다. 3FA는 데이터 전용이다. 유선망을 활용한 데이터 펨토셀 구축도 시작했다. 올해 말까지 1000국소를 설치한다.

 3G에 비해 최소 7배 빠른 3.9G로 불리는 롱텀에벌루션(LTE) 투자도 시작했다. LTE는 다운로드 최고 75Mbps, 업로드 최고 37.5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이미 장비 업체 선정을 마쳤다. 오는 7월 서울에서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2012년에는 수도권과 전국 6개 광역시로 확대한다. 2013년까지 전국망은 완성한다.

 LG유플러스도 LTE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신 3사 중 가장 빨리 LTE 장비 공급업체를 선정했다. 7월 서울과 수도권에서 LTE 서비스를 시작해 2012년 전국 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KT는 LTE보다는 와이브로와 무선랜(WiFi) 등 우회 네트워크에 치중하고 있다. 올 3월까지 전국 82개시에 와이브로를 구축한다. LTE 투자는 하반기에 나선다. 3G 네트워크 보완을 위해서는 ‘클라우드커뮤니케이션센터(CCC)’를 올해 말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올해 2조4000원, KT 3조2000억원, LG유플러스 1조7000억원 등 7조3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할 방침이다. 네트워크 투자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작년에도 6조6000억원에 조금 못 미치는 금액을 투자했다.

 하지만 이 같은 3G의 연장선상에 있는 투자로는 획기적인 트래픽 용량의 증가가 어렵기 때문에 4G로의 진화가 필요한 이유다. 통신사들도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4G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3G망 투자 비용회수 유인, 음성 수익의 감소, 트래픽 증가 대비 완만한 데이터 수익 증가 등으로 이통사가 4G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국내 LG유플러스처럼 WCDMA망이 없는 사업자를 중심으로 3.9G인 LTE 상용망 구축이 추진되고 있지만, 대세는 기술적·경제적 요인에 의해 급속한 투자 확산은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국내와 같이 망 중립성 등 망 수익자 부담원칙 등에 대한 개념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통신사업자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리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3.9G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가 3.9G와 4G 간 망 구축이 겹칠 수 있는 국내에서는 더 어려운 문제다.

 한 통신사업자 관계자는 “정부에서도 4G 시장 선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지만, 그 상용화의 주축인 통신사는 현실적으로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며 “수익자 부담, 주파수 추가할당 등 다양한 현안과제 해결을 전제로 한 중장기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