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이 고객요구를 즉시 보험설계사(FC)에게 전달하고, 다른 보험사 상품까지 데이터베이스(DB)화 하는 등 고객서비스를 개선한 차세대 시스템을 개설했다.
삼성생명은 삼성SDS를 주사업자로, 지난 2008년 10월부터 약 2년 2개월만에 차세대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삼성SDS는 독자 개발한 자바 플랫폼을 적용, 빠른 기간 내에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소개했다.
삼성생명 차세대 시스템은 다른 보험사의 상품(총 1만100여개)을 DB화해 고객에게 최적의 재무 컨설팅을 가능하도록 했다. 고객의 기본 정보만 입력해도 수입과 지출 분석을 통해 재무설계가 제공될 수 있도록 컨설팅 기반이 강화됐다는 설명이다.
FC가 자신의 노트북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컴퓨터, 휴대폰에서도 접속할 수 있게 됐다. 언제 어디서나 노트북, PC, 휴대폰 등에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영업환경을 구현한 것이다.
이밖에 콜센터, 홈페이지, 고객플라자 등 다양한 고객 응대부서에서 접수된 요구사항을 실시간으로 FC에게 전달되도록 했다. 고객이 콜센터 등을 통해 보험금을 요구하면 담당 FC가 신청단계에서부터 설명해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삼성SDS 관계자는 “단일 플랫폼 구조의 인프라 환경으로, 여러 언어 기반에 비해 유지비용 측면에서 상당한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업무 처리속도를 높여 즉각적인 응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객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구현했다”고 소개했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
-
김원배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