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과 미생물 등 생명연구자원을 연구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연구자원법)’이 8일 공포된다고 밝혔다.
생명연구자원법은 범부처 차원의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체계 마련과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등 국가 생명연구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관련 자원을 연구자들이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개별 부처 차원에서 생명연구자원을 관리할 뿐 부처간 연계를 통한 통합적 활용이 미흡했다. 이 때문에 산·학·연 연구자들이 연구에 필요한 생명연구자원을 구하거나 관련 정보를 찾는 데 애로사항이 있었다.
생명연구자원법이 시행되면 각 부처가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발굴된 생명연구자원은 부처별로 지정한 기탁등록보존기관에 기탁된다. 또 교과부는 생명연구자원에 관한 정보를 종합 관리하고, 이를 위해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를 지정해 부처별 자원 정보를 연계한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 법은 생명연구자원 관련 연구기관의 육성·지원, 전문인력 양성, 생명연구자원의 정보 유통 등의 내용도 담고 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
과학 많이 본 뉴스
-
1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2
美서 자신 얻은 네오이뮨텍…내년 급성 방사선 증후군 상용화 '속도'
-
3
이세돌, UNIST 특임교수로 임용…AI와 바둑 융합 연구
-
4
제약바이오 신규 1·2조 클럽 속속 등장…수익성 확대 '숙제'
-
5
한미그룹, 국내 경영권 분쟁 일단락…성장동력 中은 장남 손에
-
6
KAIST, 2025년도 학위수여식 개최…3144명 학위 수여
-
7
과기정통부,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 위한 보스턴 방문
-
8
비귀금속 촉매로 성능↑…'81.9%' 암모니아 분해
-
9
의사수급추계위, 자문·심의 vs 최종 의사결정…역할 논쟁 팽팽
-
10
내년 의대 정원 확정 '골든타임' 임박… 협상 속도 기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