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공단지 클러스터, 지역경제 새 희망 일군다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농공단지 클러스터 추진 시범사업

 창원·구미 등 국가산업단지 중심의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지방 농공단지로 확대·시행하는 ‘농공단지 클러스터 사업’이 새해 지역 산학연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역의 열악한 중소 농공단지를 클러스터화해 활성화하고 나아가 5+2 광역경제권 시대에 부합하는 자립형 지역경제의 토대로 만든다는 원대한 목적 때문이다.

지방 농공단지는 그동안 국가·일반산업단지와 함께 우리나라 경제 및 지역산업 발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해왔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생산 29조원, 수출 67억달러, 고용 11만6000명을 창출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지여건, 기업의 영세성, 관리시스템 및 산학연 연계체계 미흡 등으로 여전히 단순 제조업 집적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공단지 내 업체당 생산은 국가 및 일반산업단지의 2분의 1, 1인당 생산액은 국가산단의 50%, 업체당 수출도 국가산단의 20% 선이다.

지식경제부와 산업단지공단은 전국 7개 광역도(경남, 경북, 전남·제주, 전북, 충남, 충북, 강원)를 대상으로 지난달 총 56억원 규모의 농공단지 클러스터 시범사업을 확정했다. 가장 먼저 창원클러스터추진단이 지난달 17일과 22일 경남 함안군 7개 농공단지와 김해시 6개 농공단지에 미니클러스터를 구성해 새해부터 본격적인 농공단지 클러스터 사업을 시작한다. 이러한 농공단지 클러스터 사업이 성공하려면 농공단지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네트워크 프로그램 개발이나 고유 프로젝트 발굴 등 선결과제 또한 많은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농공단지는 업종이 특화된 국가산단과 달리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이 뒤섞여 있다. 클러스터의 주목적인 동종업계 내 산산, 또는 산학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기업 및 단지 내 업종 고도화를 이루기가 쉽지 않다. 대기업과 우수 중소기업이 묶인 기존 국가산단 대상의 클러스터 사업을 농공단지로 그대로 연계시켜 나가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농공단지 내 중소기업 대부분이 대기업 납품 등 협력업체지만 농공단지 내에는 대기업 생산공장이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산산협력 기반의 다양한 애로기술 해소 및 협업과제 발굴은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도 풀어야 할 숙제다.

 정부는 기존 클러스터추진단, 지자체, 농공단지 입주기업 간 협의를 거쳐 기간산업 중심의 기존 산업단지클러스터 사업과 밀착·연계된 사업을 해법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농공단지 내 대다수 이업종 분야의 기업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우배 인제대 교수는 “산업육성 정책에서 이러한 네트워크 지원사업은 세계적으로도 역사가 짧아 정책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며 “기존 국가산단 클러스터 사업과 연계된 다양한 방식의 연계 클러스터 모델 발굴은 물론이고 지역 대학 및 연구소 등과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네트워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