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지역경제 살리는 국책사업 유치 안간힘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대형 구책사업 추진 일정 및 유치 경합 지역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도 유례없는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과 관련된 입지 선정이 줄줄이 예고됐다. 대통령 공약 사안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비롯해 첨단의료복합단지·한국뇌연구원·금융중심지 등 굵직굵직한 사업의 입지 선정 작업이 이달 시작해 상반기까지 진행된다. 구체적인 윤곽이 나오지 않았지만 글로벌 게임허브센터와 제3통합전산센터 입지도 곧 가시화할 전망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전도 치열해졌다. 사업 규모가 수백억원에서 수조원에 이를 정도로 워낙 대규모인데다 유치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예상되자 지자체들은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올해를 뜨겁게 달굴 주요 국책사업별 지자체 유치 현황을 살펴본다.

 

 ◇첨단의료복합단지=첨단의료복합단지는 올 정부 국책사업 중 최대 이슈로 꼽힌다.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미래 신약과 의료기기를 개발하려는 이 사업에 오는 2038년까지 5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국내외 우수 인력과 의료 연구개발(R&D) 기관의 유치 및 정주 가능성 등 여러 여건을 감안해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지자체들은 유치에 성공하면 세계적인 의료 R&D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지역의 총역량을 결집해 마지막까지 유치전을 펼칠 전망이다.

 정부는 올 상반기에 최종 입지를 선정하기로 했다. 대전·충북·강원·대구·광주 등 전국 10여개 지자체가 지난해부터 뛰어들어 필사적인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부산·경남·울산은 3개 시도가 연합해 경남 양산에 유치를 추진 중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명박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조성사업은 대전, 충남·북, 광주, 대구 등 전국 지자체 7∼8곳이 치열한 경합을 벌인다.

 이 사업은 한때 예산이 전액 삭감될 위기에 처했다가 지난 연말 교과위 예산 심사에서 기본계획 수립 예산으로 36억원을 편성하면서 사업 추진을 위한 실마리를 풀었다. 정부가 이달 중순 과학벨트 종합 계획을 확정짓고, 상반기 안으로 관련 법안 제출과 입지 선정을 완료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지자체 간 경쟁이 다시 달아올랐다. 공약 당시 입지로 거론됐던 충청권은 R&D 역량을 축적한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주축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 오송·오창단지 등과 연계한 과학벨트가 조성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뇌연구원=정부가 오는 2012년 설립을 목표로 추진 중인 ‘한국뇌연구원’을 유치하기 위한 지자체들의 움직임도 본격화했다. 오는 2020년까지 총 37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뇌연구원은 국내외 뇌 분야 우수 연구기관 및 연구자들과 네트워크를 이용해 국가의 균형적 뇌 연구 발전 토대를 조성하고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대전에서는 KAIST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대전시 등과 손잡고 뇌연구원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대구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IGIST)과 연계해 테크노폴리스에 뇌연구원을 유치한다는 전략이다.

 서울대도 지난해 가천의과학대 길병원 뇌과학연구소·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 내 유치를 목표로 뛰고 있다.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문화부가 추진하는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CT연구원)은 광주·대전·서울 등이 유치 경합을 벌인다. 광주시의 움직임이 가장 적극적이다.

 광주시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종합 계획’에 포함된 CT연구원의 광주 설립 내용을 정부가 정면으로 부정한다면 광주 문화수도 사업은 빈껍데기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실제로 광주시 등 지역민은 기획재정부가 사실상 CT연구원의 광주 설립을 배제하는 내용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데 거세게 반발했다.

 대전시는 KAIST와 손잡고 CT연구원 입지로는 대전이 최적지라며 유치전에 합류했다. 대전시는 기존 교육 및 연구 기능으로 국한된 CT연구원에 문화콘텐츠 교육·테마파크·IPTV제작센터 등 비즈니스 기능을 접목한 자족단지가 필요하다며 엑스포과학공원을 콘텐츠사이언스(CS)파크로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금융중심지=정부가 이달 입지 선정을 최종 확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융중심지는 부산과 인천·제주 3개 시도가 수도권을 제외한 제2의 금융중심지 유치를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펼친다.

 부산은 지난해 11월 235개 시민·사회단체 대표가 모여 금융중심지 복수 지정을 촉구하며 정부를 압박하고 나선 데 이어 최근에 부산시와 현대건설 컨소시엄 간 ‘문현금융단지 조성 복합 개발사업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금융중심지 유치를 위해 한발 앞선 대응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내 금융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제주도는 지난 연말 역외금융센터를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에 조성하는 내용의 ‘제주금융중심지 개발 계획안’을 마련했다. 제주 지역 20개 기관 및 단체 대표로 구성된 ‘제주역외금융센터 설립 추진협의회’를 창립하는 등 제주를 역외금융의 중심지로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하게 건의했다.

 ◇글로벌게임허브센터=정부가 오는 2012년까지 게임산업에 3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하면서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 대한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다.

 글로벌게임허브센터 구축은 지난 5월 문화부 산하 한국게임산업진흥원과 한국MS가 MOU를 교환하면서 가시화된 사업이다. 경기 고양시가 유치에 나설 것을 공식 선언한 가운데 대구와 부산 등 지자체들이 건립 계획을 마련하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이들 지자체는 글로벌게임허브센터를 유치하면 문화콘텐츠산업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예상,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제3통합전산센터=행안부 소속 기관인 정보통합전산센터도 올해 전체 예산 2181억원 중 1360억원을 올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기로 한 가운데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 제2통합전산센터에 이어 제3통합전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3통합전산센터 유치를 위해 제주도를 비롯, 포항과 대구 등 영남권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유치를 위한 제안서를 작성 중이다.

 센터 유치시 해당 지역 SW 및 전산장비 관련 업계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가 상반기에 센터 구축을 위한 세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어서 센터 유치 희망 지역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전국팀>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