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펀드 "시작부터 속탄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제1호 탄소펀드 내용

지난해 말 출범한 탄소펀드의 출발이 난항이다. 결국 처음 목표금액의 60% 규모로 출발했을 뿐더러 아직까지 첫 투자 대상도 정하지 못했다. 탄소시장에 대한 불안감과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로 인한 투자시장 위축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첫 탄소펀드인 ‘한국사모 탄소 특별자산 1호 투자회사’가 아직까지 첫 투자처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탄소펀드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투자하고 여기서 발생한 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금융상품이다. 지난해 12월 에너지관리공단, 공무원연금 9개 기관투자자들의 참가로 출범했다. 펀드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청정개발사업(CDM)을 인증, 공급하는 지식경제부(옛 산업자원부)가 주도했다. 또 규모도 결국 당초 목표인 2000억원의 60% 가량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사업 범위도 줄어든 셈이다. 지경부는 지난해 4월 목표를 공개하고 당해 10월까지 펀드를 출시할 계획이었다. 결국 투자마감시한을 3차례나 연기한 끝에 출시됐지만 아직까지 추가 투자자를 뽑지 못했다.

업계는 탄소펀드,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과 수익성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펀드 위축 원인으로 봤다. 진종욱 지식경제부 기후변화대책팀장은 “실무급이 아닌 의사결정자 레벨에서 아직 탄소펀드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투자자를 모집할 때 지경부에서 직접 가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발전자회사들과 함께 유력한 투자자로 지목됐던 한국전력공사도 별 관심이 없다. 한전 관계자는 “직접 CDM 사업이나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나서는 경우가 늘고 있어 굳이 수익성이 불투명한 사모펀드에 참가해야 할 이유를 찾기 힘든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외 투자대상을 펀드 설정 시점에 적용하지 않고 운영중에 정하는 ‘블라인드 방식’이 적용된 것과 최근 1∼2개월 간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 사태로 전 세계 금융시장 경색 우려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도 원인으로 지적됐다.

진종욱 지경부 팀장은 “투자 기관들이 현재 첫 투자 대상 등에 대한 검토를 진행중”이라며 “구체적이진 않지만 조만간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경부는 진행상황에 따라 탄소펀드를 확대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진종욱 팀장은 “온실가스 감축 등에 대한 중요성이 늘어나고 있다”며 “필요한 경우 2호 탄소펀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순욱기자 choisw@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