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P 번호이동 시장 활성화 기대감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사업자별 시내전화 번호이동 현황 및 사업자별 이동전화 번호이동 현황

 인터넷전화(VoIP)의 번호이동제 도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VoIP 시장의 활성화를 가늠할 핵심 변수기 때문이다.

 VoIP는 그동안 시내전화에 비해 높은 가격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070’ 번호가 스팸번호로 오해되고 기존 전화번호를 바꿔야 한다는 점 때문에 보급속도가 더뎠다.

 하지만 상반기 번호이동제가 실시되면 이 같은 걸림돌이 제거돼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에 비해 2∼3배 이상의 신장은 무난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케이블TV사업자들이 연합한 KCT는 최근 지역 30여개 지역 케이블TV사업자와 계약하고 TPS(케이블방송+초고속인터넷+VoIP) 영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VoIP 번호이동 시내 번호이동 재현될라=번호이동은 이동전화·시내전화 두 가지 서비스 영역에서 이미 적용된 제도다. 그러나 VoIP는 속성상 시내전화 번호이동 제도 경험과 비슷한 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

 VoIP 업체들이 기대와 동시에 우려하는 이유 역시 이 대목이다. VoIP 번호이동에서 아직 풀리지 않은 숙제는 기술적 문제로 비지능망 방식으로 번호이동을 하게 됐다는 점이다. 이 역시 유선 번호이동과 동일하게 됐다.

 비지능망 방식은 쉽게 말해 070으로 번호를 이동한 고객에게 이동전화 사업자들이 전화를 할 때 KT나 하나로텔레콤의 교환기를 한 번 더 거치게 된다는 걸 의미한다. 이는 미세하나마 통화품질이나 호대기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접속료 산정 논란 남아=비지능망 방식의 근원적인 문제는 네트워크를 한 번 더 경유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접속료 문제다. 만일 KT(유선전화) 교환기를 거치지 않는다면 접속료는 이동전화 사업자와 VoIP업체 간에 정산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KT 교환기를 거치면 접속료 산정이 추가로 이뤄진다. 시내 전화 접속료는 18원, VoIP는 대략 5.5원인 상황에서 이동전화 업체에서 5.5원의 접속료를 받아 KT에 주고나면 VoIP 업체들은 장사를 하나마나 한 상황이 된다.

 이 때문에 유선사업자들은 이통사업자에도 접속료 부과를 요구하고 있다. 이통사로서는 선뜻 낼 이유가 없다. 이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정통부는 접속료 절충안을 찾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VoIP 사업자들은 접속료뿐 아니라 지능망 방식 적용 시기를 최대한 당겨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권역을 벗어나면 번호 교체 불가피=VoIP업체들이 아쉬워하는 대목 중 하나는 144개 권역을 넘어서면 번호를 바꿔야 한다는 점이다. 즉, 서울 KT 가입자가 VoIP로 전환한 후 교환기가 포괄하는 144개 권역 바깥으로 이사하면 이때는 번호를 바꿔야 한다.

 KT 시내전화 서비스 중에는 타지역번호 서비스라는 제도가 있어 최소한 뒷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VoIP사업자들은 내심 권역을 준수하지 못하더라도 KT의 유선전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타지역번호 서비스 제도적용을 기대했으나 불발로 그쳤다.

 이 때문에 VoIP 이용자가 권역을 옮길 때는 번호 교체가 불가피하다. 번호이동을 한 지방 고객이 서울로 올라올 때도 마찬가지다.

 ◇4월 상용 서비스 기대=상용 서비스 시기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4월 전후로 시작될 것으로 VoIP 사업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현재 대전·대구·광주·부산·안산·청주 6개 지역에서 시범서비스가 시작됐다. 9개 VoIP 기간통신사업자와 6개 부가통신사업자 중 11개 사업자가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사업자마다 6개 지역 전체를 포괄, 200여가입자를 대상으로 서비스한 후 문제점을 공론화할 예정이다.

 VoIP 사업자에 따르면 번호 이동에 걸리는 평균치가 8일이다. 이동전화와 달리 번호이동 의지를 밝히는 순간 기존 유선 사업자로부터 ‘역 마케팅’을 받기 때문에 영업이 만만치 않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KT나 하나로텔레콤 모두 전담팀을 구성했다. 양사가 적극적으로 VoIP 가입자를 확보해 시장을 창출하는 데 동참할지, 아니면 전문 VoIP사업자로 전환 의사를 밝히는 기존 고객을 자사 VoIP로 다시 묶어두는 데 힘을 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신혜선·황지혜기자@전자신문, shinhs@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