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업계 ’브랜드 바이’로 간다

 ‘메이드 바이(Made by)도 옛말, 브랜드 바이(Brand by)가 뜬다.’

전세계 가전업계가 ‘브랜드’에 사활을 걸었다. 글로벌 생산체계의 확대로 제조국가를 나타내는 ‘메이드 인(Made in)’의 가치는 급속히 쇠퇴하는 대신, 제조사를 의미하는 ‘메이드 바이(Made by)’ 개념이 빠르게 자리를 잡았지만 이제는 브랜드가 제조사 보다 우위를 차지하는 시대가 됐다.

◇제조사는 감추고, 제품 브랜드는 전면에= ‘초콜릿폰·프라다폰·트롬…’ 애칭과 제품 브랜드가 입소문을 타면서 전세계 히트 상품의 반열에 오른 LG전자의 제품들이다. 트롬의 경우, 국내에서 드럼 세탁기의 대명사가 되면서 경쟁사 매장에서도 이 이름을 찾는 소비자까지 등장했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 인지도를 극복하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지만 부르기 쉽고 외우기 쉬운 이름들로 제품의 특성이 잘 나타나 성과를 냈다는 평가다.

‘보르도·깐느·브로드웨이·퀴담…’본래는 포도주 원산지와 영화의 본고장, 유명 서커스단 등의 이름이지만 내수 시장에서만 적용되는 삼성·LG전자의 평판TV 애칭들이다. 아직까지 글로벌 시장에 본격 선보이진 않았지만 국내의 인기에 해외 바이어들도 다 인지할 정도가 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삼성(SAMSUNG)이라는 기업 브랜드로 통일하고 있지만 시점이 되면 제품 브랜드와 기업 브랜드로 이원화하는 전략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브랜드만 남는다=브랜드 전문가들은 “메이드 바이에서 브랜드 바이로 전환하는 시점이 머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다국적 기업이 각 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글로벌 소싱을 통해 공급하는 것이 ‘메이드 바이’라고 한다면, ‘브랜드 바이’ 시대에는 생산 거점도 필요가 없다는 것. 즉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브랜드만 남고 나머지는 각 국의 제조사들이 주문자상표부착(OEM)방식이나 제조자생산설계(ODM)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아웃소싱이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고객들의 전화 주문을 받아 전세계 전자제조서비스(EMS)업체를 통해 PC를 생산, 판매하는 델의 사업 방식이 가전산업계에도 확대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정현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앞으로 가전 기업의 성패는 각 국의 소비자를 요구를 읽는 상품 기획력과 브랜드를 컨트롤하는 마케팅 역량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지연기자@전자신문, jyj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