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이동망사업자(MVNO)는 주파수를 보유하지 않고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망사업자의 망을 임차해 독자적인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유한자원인 주파수를 이용하는 이동통신사업 특성상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사업자 수가 현실적으로 제한돼 있으나 통신시장 경쟁을 활성화하기 위해 나온 제도다. MVNO는 기지국·기지국제어기 등 대체 불가능한 이동통신설비를 기존 사업자에게서 임차해 자신이 보유한 설비와 결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에서는 영국·네덜란드·스칸디나비아 반도 등 유럽 지역에서 요금 인하 등의 효과를 거두며 활성화돼 있다. 일본도 지난 2003년 4월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정보통신부가 이동통신 경쟁 정책 차원에서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과 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구성한 관련 전담반을 통해 MVNO 도입을 검토 중이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윤훈한 GIST 교수, '2D 물질 신진 젊은 과학자상' 수상…올해 유일한 한국인 영예
-
2
[ET시론]대치밸리를 벤치마킹하라
-
3
[미래포럼] 건설 현장의 새로운 파수꾼, AI CAD
-
4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50〉실물자산토큰(RWA)의 증권성 판단 방법
-
5
[ET톡]장애인 정책, 아직 갈 길이 멀다
-
6
[기고] AI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시스템통합 생태계 혁신이 필요하다
-
7
[ET대학포럼] 〈217〉연구, 새로운 것을 찾는 도전
-
8
[사이언스온고지신]지구 속 역사를 담고 있는 자연의 기록 '화성암'
-
9
[전문가기고] 경쟁 가속화 속 AI 프롬프트 디자인
-
10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4〉유권자와의 디지털 소통, 일회성보다는 일관성이 표심 가른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