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제품 등의 성장 추이를 나타낼 때 자주 쓰이는 지표인 CAGR란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의 약자로, ‘연평균 복합성장률’이라고 해석된다. 이 지표는 주로 2년 이상의 실적을 분석할 경우 사용되며 첫해부터 매년 일정한 성장률을 지속한다고 환산했을 때 쓰는 성장률이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매출이 2000년 100억원에서 2005년까지 매년 50억원씩 동일하게 증대돼 2005년 450억원이 됐다고 가정할 때 산술 평균 성장률은 35.38%가 나온다. 그러나 이 기업이 2000년부터 매년 꾸준히 35.38% 성장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실제로 100억원부터 출발해 매년 전년보다 35.38% 증대된 매출을 합산해보면 450억원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성장률 분석 시 이 같은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CAGR를 사용한다. CAGR는 매년의 성장률을 단순평균치로 제시하지 않고 수년간의 성장률을 평균으로 환산하는 개념이며 일정한 산출식에 의해 간단히 수치를 도출해낼 수 있다. 기업에 대한 투자 가치를 평가하거나 성장 추이를 진단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기고]케이블TV 도입 30주년,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한 정책 개선 필요
-
2
[ET톡]'제2의 토스', 핀테크 유니콘 나오려면
-
3
[人사이트]최종태 대경ICT산업협회장 “글로컬 자생력 키워 지역경제·국가 경쟁력에 기여”
-
4
[관망경]K콘텐츠 글로벌 도약, 거버넌스부터 재설계해야
-
5
[인사] 대신정보통신
-
6
[기고] 한국 미술시장 변화와 컬렉션 전략
-
7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49〉챗GPT의 잘못된 정보 생성은 개인정보를 침해하는가
-
8
[부음] 김인철(삼성전자 DS부문 커뮤니케이션팀 상무)씨 부친상
-
9
[사이언스온고지신]과학과 기술, 두 날개 균형 잡는 '기술사업화'
-
10
[인사] 현대해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