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업의 허리’인 중견기업을 현재 700개(0.5%)에서 오는 2015년까지 1400여개로 확대·육성한다.
산업자원부는 18일 산업발전심의회를 통해 종업원 300명, 매출액 400억원 이상 중견기업의 비중을 2015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1%로 확대해 나가기로 하고 △중견·중소기업 간 인수합병(M&A) 촉진 △글로벌 혁신역량 강화지원 △대기업 동반 성장형 중견기업 육성 △부품소재 중견기업 확대 △우수 중기의 중견기업화의 5대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중견기업은 법적인 정의는 없으나 중소기업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자산 2조원 이상)을 제외한 기업을 의미한다.
5대 과제 가운데 정부는 우선 중견·중소기업 간 M&A 촉진을 위해 현재 벤처기업으로 한정돼 있는 M&A 특례를 이노비즈,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및 중핵기업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중견기업 간 M&A 심사요건도 시장 친화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중견기업의 글로벌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중견기업 대상 기술경영 교육을 확대하고 중장기 기술개발 과제에 중견기업 맞춤형 R&D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기업 동반 성장형 중견기업 육성을 위해 대·중소기업 간 공공기술 개발 및 상생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IT인프라를 활용한 모기업과 납품업체 간 협력체계를 개선해 구매·생산·물류의 효율성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또 부품·소재 기업의 중핵기업화를 위해서는 국내외 투자확대를 유도하고 부품소재 전문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 우수 중소기업의 중견기업화 유도를 위해서는 혁신형 기업에 기술개발·장비구축·인력양성·표준화로 이어지는 ‘패키지 지원’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디자인과 브랜드 혁신 지원은 물론이고 고급인력 채용 시 정부보조금 지급도 검토되고 있다.
김호원 산자부 산업정책관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중견기업 비중이 일본 1.4%, 영국 1.5% 등에 비해 급격히 낮아지고 있어 산업구조 양극화와 중소기업의 발전이 저해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중견기업으로의 원활한 전환에 정책 초점을 맞춰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5대 정책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