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융·복합 시대인데 연구개발은 산업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융·복합 기술의 결합 필요 사례

 ‘기술은 융·복합 시대인데 연구개발은 산업별로.’

 산업화 기술은 융·복합화되는 추세인 데 비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체계는 산업별로 구분돼 있어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예컨대 휴대폰으로 전화·카메라·MP3·TV 등이 모두 통합되고 있는데 한 가지 영역만 연구하는 방식으로는 최상의 성과를 낼 수 있겠느냐”며 “융·복합기술 생태계에 맞게 인력이나 R&D시스템도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소(원)는 대부분 기계·우주항공·바이오·전기·부품 등 업종별로 구분돼 있다. 융·복합기술(FT)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틀을 갖추지 못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2010년까지 2500억원을 투입하는 국가차원의 ‘전력IT 프로젝트’는 전력과 IT를 접목해 신산업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아직까지 전력·전기 전문업체만 참여하고 있을 뿐 IT전문 기업이나 연구소의 참여는 전무하다.

 차세대 유력 기술로 꼽히는 나노 분야에는 전자부품연구원·기계연구원·생산기술연구원 등이 모두 자신만의 접근방식으로 R&D를 진행하고 있다. 실버시대를 겨냥한 차세대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의대와 공대의 융합을 통한 공동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한국공학기술단체연합회 소속인 이강용 연세대 교수는 “기존의 업종·산업별로 구분된 연구 체계나 학제로는 융합핵심 기술의 원천 기술을 연구하고 확보하는 데 분명 한계가 있다”며 “전문 융·복합 연구소와 관련 전문 대학원 학제 마련 등의 대안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반도체·에너지·부품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융·복합 기술개발을 지향하고 있지만 이를 구현할 뚜렷한 R&D시스템 정책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정부 정책은 여러 연구소 간 공동 프로젝트에 가점을 부여하고 인력 파견·교류확대를 장려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기존 산업별로 구분된 연구소는 자기 기득권 유지를 위해 별도의 융합 연구소 설립에 반대하고 있다”며 “연구개발 인력 풀은 그대로인 가운데 융·복합 전문연구소만 확충하면 기관만 난립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어 큰 변화를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