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좋은 성장]부품·소재산업 육성-국산화율 급진전…그래도 부족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요 전자제품 부품 국산화율 추이

과거 우리나라 전자 산업은 종종 가마우지에 비유됐다. 매출이 늘수록 일본의 부품 소재 업체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우리 전자 업계의 모습이 열심히 물고기를 잡지만 목에 감긴 줄 때문에 넘기지 못하고 사냥꾼에게 가져다주는 가마우지의 신세와 비슷했기 때문이다. 아직 몇몇 핵심 부품 소재는 외국 업체에 의존하고 있지만 최근 주요 전자 제품의 부품 국산화율은 크게 늘었다.

휴대폰은 원가 비중이 가장 높은 메모리를 비롯해 주요 부품의 국산화율이 최소 95%에서 100%에 이른다. 디스플레이도 2004년 65%에 비해 80%로 늘어났고 인쇄회로기판(PCB)나 수동부품도 90% 내외의 국산화율을 기록했다. LCD TV는 패널이 제조 원가의 70% 이상인데 2004년 55%이던 국산화율이 작년에는 90%로 높아졌다. PDP TV는 원래 삼성SDI와 LG전자가 세계 PDP 패널 시장을 좌우해왔기 때문에 부품 국산화 측면에서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MP3플레이어 역시 낸드 플래시메모리나 디스플레이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 비중이 늘면서 토대가 탄탄해지고 있으며 DMB 단말기는 가장 핵심인 수신 칩이 국산화되면서 단번에 70% 이상이 부품 국산화율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전자부품의 국산화율이 크게 개선됐지만 아직 ‘2%’가 부족하다. 대부분의 핵심 부품이 국산화됐지만 몇몇 부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휴대폰 역시 통신용 베이스밴드 칩이 가장 큰 문제다. 퀄컴 의존도가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다. 원가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RF부품이나 커넥터 등도 90% 이상 일본에 기대고 있는 상황이다. LCD TV는 드라이버 칩이, PDP TV는 파워모듈이 약세다. 각각 수입 의존도가 90%와 70%에 달한다. 이 밖에 프로젝션 TV용 엔진, PMP용 코덱 칩, MP3플레이어 전원 컨버터, DVD플레이어의 영상 칩, 셋톱박스용 CPU와 튜너 등도 국산화 과제가 남은 분야다.

장동준기자@전자신문, djja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