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미국의 RFID 특허 공세에 업계 `공동 대응`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특허대응 전문가 회의 참여 업체

 거세지는 미국 기업들의 전자태그(RFID) 특허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들이 주도한 ‘RFID 특허 풀(Patent pool)’이 이르면 이달 구성된다.

 지난해부터 RFID 특허를 대량 보유하고 있는 미국 기업들이 전세계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특허권 행사에 나선 가운데 이에 맞서 연합전선을 구성하는 것은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으로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번 특허 풀 구성을 통해 미국 기업들의 RFID 특허권 행사에 제동을 거는 동시에 중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 진출에서도 주도권을 잡겠다는 복안이다.

 2일 관련 업체들에 따르면 국내 RFID 관련 특허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중심으로 삼성종합기술원·LS산전 등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특허 풀’을 구성하기로 합의하고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마련해 이르면 이달 발족하기로 했다.

 ‘RFID 특허 풀’은 우선 대기업을 중심으로 운영에 들어가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를 공유하는 한편 미국 기업들과 대응할 수 있는 특허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중소 RFID 전문업체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RFID 관련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해외 연구소 등과 접촉, 이를 국내 특허로 흡수하는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한국RFID/USN협회를 중심으로 지난해부터 운영해온 ‘RFID/USN 특허대응 전문가 회의’에서 이번 특허 풀 구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특허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참여 의사를 밝혀 전격 구성에 나선 것이다.

 이에 앞서 특허 풀 구성을 주도하고 있는 ETRI는 한국RFID/USN협회, 법무법인 다래 등과 공동으로 국내외 등록된 RFID 관련 특허를 취합하고 이에 대한 분류와 분석, 특허지도(맵) 등을 구성해 미국 업체들과의 특허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기반 작업을 마친 상태다.

 ETRI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사전 조사 차원에서 현재 RFID 관련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 등록된 총 2만1000건의 특허를 검색했으며 이 중 국내 기업과 직접 관련이 있는 1만4539건을 분류했다. 이를 다시 중요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나눴으며 이 중 원천기술에 해당하는 최상위 등급(A급)으로 77건의 특허를 축출, 오는 10일까지 각 특허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완성할 방침이다. 이를 기반으로 특허 풀 참여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해 미국 업체들에 대한 본격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임성우 한국RFID/UNS협회 팀장은 “미국 기업들이 지난해 말 특허 풀을 구성하고 특허 전문업체에 관리 권한을 넘겨 본격적인 특허 권리를 주장하고 나섰으며 조만간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요구안이 제시될 전망”이라며 “RFID 시장이 본격 확산되는 상황에 미국 기업들의 특허권 주장은 국내 기업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었으나 이번에 추진되는 국내 특허 풀을 통해 전면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인터맥이 지난해 6월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100만달러 계약금과 판매액의 5∼7%를 로열티로 요구하는 ‘레피드 프로그램’을 제기한 이후 나머지 19개 미국 업체가 동참한 특허 풀을 구성했으며 라이선싱 대행사인 MPEG LA에 특허관리와 라이선싱 업무를 위탁한 상태다. 이들은 올 상반기에 2차 라이선스 프로그램을 가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RFID 관련 지적재산권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인터맥은 최근 들어 국내 일부 RFID 전문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무상으로 자사 특허를 사용토록 하는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특허권 행사에 나서면서 업계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서동규기자@전자신문, dks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