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차세대PC 산업 경쟁력을 위해서는 프로세스(CPU)·운용체계(OS)와 같은 플랫폼 분야와 관련한 지적재산권 (IPR)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무선 통신 특허 건수가 플랫폼· 스마트 입출력· 소프트웨어 등 다른 차세대PC 요소 특허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표준 편식 현상’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차세대PC 산업 육성과 기술 경쟁력 확보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86년부터 2003년까지 17년 동안 차세대PC 분야 국내외 특허를 조사한 결과, 미국·유럽·일본에 비해 차세대PC 플랫폼 분야의 특허 건수가 전체의 15%로 가장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미국은 전체의 38%, 유럽은 37%, 그리고 일본이 23% 순으로 플랫폼 분야와 관련해 상당한 수준의 특허를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PC의 IPR 현황을 보면, 국내는 개인무선통신 분야가 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플랫폼(15%), 스마트 입출력(13%) 순이었다. 차세대PC의 요소 기술중 하나인 오감 정보 분야는 7%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무선 통신과 차세대 플랫폼 분야가 38%로 엇비슷한 수준이었다. 유럽도 초단거리 28%, 차세대 플랫폼 37%, 스마트 입출력 26% 등으로 집계됐다. 일본은 국내와 마찬가지로 개인 무선통신 분야가 높았으며 차세대 플랫폼 23%, 오감 정보 11%로 오감정보와 관련해서는 다른 IT선진국과 비교해 높은 특허 건수를 가지고 있었다.
이 보고서는 특히 차세대 플랫폼과 시스템소프트웨어가 해당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주도권을 쥐는데 필수적이라고 진단하며 “기술 종속성이 큰 CPU 관련해서는 IT SoC 등과 연계해 추진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또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시장과 가격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면서 “윈도 계열 소프트웨어에 대응,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와 연계한 초소형·초절전 시스템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와 미들웨어 분야의 기술 특허를 조기에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ETRI 한동원 차세대PC연구 그룹장은 “국내업체는 차세대PC와 관련해 당장 성과를 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과 응용 애플리케이션에 주력하는 상황” 이라면서 “기존 PC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이른바 ‘윈텔’ 진영의 시장 지배 구도에 따른 폐해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 분야의 시급한 원천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차세대PC 지적 재산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