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RFID의 정의

 최근 뉴스에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기사를 읽다 보면 바코드인식기를 대신할 전자태그라는 기술에 대해 접하게 된다.

 전자태그는 일종의 칩이다. 양판점에서는 그동안 바코드를 물건에 인쇄하고 이를 일일이 바코드리더로 인식시켜야 했다. 하지만 전세계는 몇 년 전부터 주파수인식기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자그마한 정보인식용 RFID칩, 즉 전자태그를 부착시키고 계산대만 거치면 계산이 되도록 한 편리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전세계는 이처럼 물건에 깨알만한 작은 칩을 붙여 이 칩에 물건의 유통경로, 생육과정, 가격 등 제반정보를 심고 전파를 이용해 순식간에 처리토록 하는 데 성공했다. 세계최고의 유통기업인 월마트가 이 기술을 내년까지 적용할 것으로 전해졌다.

 언제 어디서나 어떤 것에 대한 정보도 순식간에 이뤄져 필요한 사람들에게 전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역시 이 칩을 둘러싼 기술에 의존하게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자태그 기술이 이제 점점더 우리와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용어에 대한 정의는 여전히 모호한 상태인 것 같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이 기술은 그동안 ‘전자태그’란 이름으로 우리주변에서 막연히 사용되어 왔다.

 최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관심의 초점으로 등장한 ‘RFID’에 대해 ‘주파수식별’이라고 써야 한다는 지침을 내놓았다.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말 그대로 풀어본다면 ‘주파수식별’ 외에도 ‘전파인식’ ‘주파수 인식’ ‘정보인식’ 등 다양한 말이 나올 수 있다. 주파수식별에 대해 웬지 어감이 어색하다는 반응도 적지 않은 것 같다.

 비슷한 사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란 단어의 용례에서도 나타난다. GPS위성, GPS수신기 등과 같은 잘못된 의미로 사용되는 등 혼동을 거듭하고 있다.

 언어가 사회적 약속인 만큼 모든 외래어 용어정의는 항상 신중하고도 광범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재구부장 jk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