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비문화를 만들자]무엇을 팔 것인가, 어떻게 팔 것인가

 용산 전자상가에서 5년째 컴퓨터 부품 판매업을 하는 K사장은 요즘처럼 장사하기가 힘들게 느껴진 때가 없다고 했다. 예전에는 단체 납품건을 잡아 제법 많은 돈을 만져보기도 했다. 요즘에는 경쟁이 심해 예전 같은 횡재수는 찾아 볼 수 없다. 전부터 거래하던 회사의 PC를 유지보수하며 근근히 살아간다. 용산에서 거래되는 부품의 단가는 인터넷을 통해 100원 단위까지 알려졌다. K 사장 역시 울며 겨자먹기로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에 판매한다. 하지만 전자상가의 많은 매장 중 하나인 K사장의 가게 역시 단골이 아니면 사람들이 찾지 않는 가게가 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규모가 수조원을 넘어서면서 용산전자상가의 거래 형태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가격비교사이트의 활성화는 컴퓨터와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용산 상인에게 재앙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점포마다 조금씩 다른 가격과 동네 전파상보다 월등히 싼 가격으로 명성을 유지해 온 용산이 이제 10분만 투자하면 가장 싼 곳을 확인할 수 있고 직접 방문할 필요도 없이 물건을 배달해주는 인터넷쇼핑에 밀리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무엇인가. 시대는 변했고 사람들은 더 이상 용산전자상가가 제공하는 물품판매 기능에 만족하지 않는다. 용산에서 판매하는 제품과 인터넷쇼핑몰의 제품이 다르지 않고, 동네 할인점에 비해 다양하지도 못하며 가격 경쟁력도 떨어진다.

 용산전자상가의 탈출구는 결국, ‘무엇을 팔 것인가’와 ‘어떻게 팔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는 시각의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인의 논리가 아닌 소비자의 논리로 문제를 바라봐야 해결점도 나온다.

 소비자는 당연히 더 싼 가격에 구매할 권리가 있다. 또 더 좋은 서비스를 요구할 권리도 있다. 바쁜 소비자들은 구매를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 인터넷을 통한 가격 공시는 막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가격은 문제를 푸는 변수가 아니다. 문제의 핵심은 소비자들이 무엇을 바라며 용산을 찾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다양하고 많은 제품, 좁은 통로를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이색적인 구경거리, 실제로 물건을 만져보고 주인과 얘기하며 흥정하고, 의견도 들어보는 등의 체험은 인터넷쇼핑몰과 대형 할인점에서는 줄 수 없는 것들이다.

 용산을 찾는다는 것이 소비자에게 있어 이벤트고 간만의 나들이가 될 때, 또 용산이 쇼핑의 즐거움을 소비자에게 선사할 수 있을 때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문화 형태의 구매 패턴을 제공하고, 곳곳에 정보센터를 개설하며, 상인들은 밝은 얼굴로 성가신 질문에도 친절히 답하는 등 보다 인간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세상을 바꿀 수 없다면 자신이 바뀌어야 한다.

<하일호 변호사 kan@hihlaw.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