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광화문 KT지사 내에 홈네트워크 전시관을 구축하면서 소요비용 40억원을 업계에 부담시켜 구설에 오르고 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통부는 최근 9대 신성장 동력산업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 마련을 추진하면서 홈네트워크 전시관 마련 및 운영 비용 40억원을 KT·SK텔레콤·KTF·LG텔레콤 등 통신업체와 삼성전자·LG전자 등 가전업체가 부담하도록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통부가 업체에 분담금 형식으로 요청한 금액은 홈네트워크 사업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KT와 삼성전자·LG전자에 대해서는 각각 10억원씩, SK텔레콤·KTF·LG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에 대해서는 합쳐서 10억원으로, 총 40억원에 이른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같은 정통부의 발상에 대해 ‘전시행정’의 표본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홈네트워크를 홍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대중적인 장소가 아닌 정통부 건물 내에 전시관을 만든다는 것 자체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이와 함께 전시장 운영계획과 관련해서도 ‘통합된 환경’ 아니라 업체들이 가지고 있는 솔루션 및 단말기를 각각의 부스 형태로 만들어 보여주는 형태에 불과해 반쪽짜리 홈네트워크 전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홈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정부가 주도하더니 이제는 전시관 건립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며 “그것도 정부 재원이 아니라 업체들에게 40억원씩이나 부담시켜가면서 전시관을 만들려고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다른 업체 관계자는 “홈네트워크 홍보가 진짜 목적이라면 보다 대중성 있는 장소에 전시관을 만들어야지 정통부 청사까지 누가 보러오겠냐”며 “이미 일부 업체들은 자체적으로 첨단기술을 구현해 만든 전시공간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보다 나을 게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통부 관계자는 “정통부는 단지 아이디어를 제공했을 뿐이며, 비용은 업체들이 각자 자사 홍보를 위해 분담키로 한 것으로 안다”며 “외국 IT기업들의 방문이 잦은 곳이어서 입지도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데스크라인] TSMC의 삼성 고사(枯死) 작전
-
2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3
삼성전자 “올해 HBM 공급량 2배 확대”
-
4
삼성전자, 작년 300.9조원 매출로 역대 두번째…4분기 반도체 이익은 '뚝'
-
5
ASML, 지난해 매출 283억유로…“올해 매출 300억~350억유로 전망”
-
6
휴먼인모션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으로 캐나다 공략”
-
7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8
작년 대기업 시총 1위 삼성…업황 변화에 '지각변동'
-
9
“데이터 실시간 공유”…LG엔솔, 소재·부품 협력사와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
10
고려아연 SMC “영풍 주식 취득은 정당한 조치”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