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청, t정부 시작도 하기전에 논란

 강남구청(청장 권문용)이 추진중인 ‘강남 t정부 구축’ 사업이 주민들의 냉담한 반응과 예산 문제 등으로 시작도 하기 전에 삐걱거리고 있다.

 강남구청의 t정부구축사업은 약 9억1600만원을 들여 양방향 디지털방송을 통해 구민들에게 민원·행정정보·투표·세금납부·주민등록등본신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

 그러나 강남구청이 지난 14∼17일 주민 4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게재된 30건의 의견 가운데 단 3건을 제외한 대다수의 주민들이 이 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아직 시기상조라는 의견과 함께 현재 구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터넷방송과의 중복성, 조작의 불편함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9억 여원이나 들여 실효성이 없는 이 같은 사업을 벌이는 강남구청이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줄을 이었다. 현실적으로 당장 양방향 TV서비스가 가능한 대상은 스카이라이프의 양방향 셋톱박스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이다.

 지난 9월 기준으로 이같은 세대는 강남구 전체 19만6000세대 가운데 약 4000세대 정도로 결국 초기 단계에서는 극소수의 구민을 위한 서비스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류경현 강남케이블TV 사장은 “강남구 내 15만여 가구가 케이블TV 가입자이지만 양방향 셋톱박스가 한꺼번에 공급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초기 단계에서는 SO의 지역 채널 등을 통해 단방향 서비스 등이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설문결과 수치는 68%(300명)가 이 사업에 찬성하고 31%(140명)가 이 사업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문결과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관련 업계에서도 이 같은 서비스는 당초예산 10분의 1 정도면 충분히 가능하며 이 같은 예산으로 오히려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강남구청의 t정부 구현화면은 카드번호와 주민번호, 전화번호 등이 노출돼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강남구청은 현재 예산을 약 3억원 정도로 대폭 줄였으며 이마저도 의회의 승인을 앞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보안에 대해 기술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강남구청은 전문가가 참여하는 추진협의체를 통해 매체 선정 작업 등을 실시중이며 예산이 승인되는 대로 내년 상반기에 본격적인 t정부 구축에 착수할 계획이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