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브리핑]우리기업, 수익성 높다

 우리 기업들의 수익성이 IMF외환관리 이후 진행된 활발한 구조조정에 힘입어 글로벌 기업들의 수준을 오히려 능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산 운용 효율성이 떨어지고 단기자금 의존도가 높은 것 등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LG경제연구원이 전자·통신 등 주요 10개 업종에 대해 국내 업종별 3대 기업(2002년 매출액 기준) 30개사와 포춘이 선정한 ‘2002년 글로벌 기업’ 중 업종별 5대 기업 50개사를 비교 분석한 ‘글로벌 기업과 비교한 한국 기업의 현주소’ 보고서에 따르면 영업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는 투하자산 수익률의 경우 국내 30개사의 평균값은 12%로 글로벌 50개 기업 평균인 8.7%를 3.3% 포인트나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휴대폰 매출 성장과 내수 호조 등에 힘입어 특히 전자(11.3%P), 자동차(10%P), 통신서비스(6.9%P) 업종에서 우위가 두드러졌다.

 국내 대표기업들은 이자보상배율에서도 5.0을 기록해 글로벌 기업 평균(4.5)을 웃돌았다. 이자비용에 대한 영업이익 비율인 이자보상배율은 ‘1’ 이하일 경우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으로는 이자 충당조차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평균 부채비율 역시 국내 기업들이 194.7%였으나 글로벌 500 기업은 254.5%에 달했다.

 이같은 수익성, 재무 상태의 우위와는 대조적으로 자금 운용의 효율성과 재무 안정성 등은 국내 업체들이 아직 국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하자산 회전율은 국내기업들이 평균 1.1로 글로벌 기업의 평균 1.4를 밑돌았다. 투하자산 회전율은 투하자산이 1년동안 몇번 회전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투입한 자산의 운용 효율성을 반영한다. 전체 차입급에서 단기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국내 기업은 무려 72.7%에 달하는 반면 글로벌 기업은 19.2%에 불과했다.

 이에대해 임일섭 수석연구원은 “IMF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이 구조조정 노력과 수익성 우선 기조를 유지한 덕분”이라고 풀이하고 “부채비율이 크게 줄고 이자보상배율이 개선되는 등 수익성과 함께 재무구조가 좋아졌다”고 평가했다. 임 연구원은 “그러나 재무구조 개선과정에서 위축된 투자를 되살려 다시 성장기반을 확보하고 단기자금 의존도를 줄여 재무적 안정성을 높이는 작업 등이 기업의 과제로 남았다”고 강조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