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에 들어가는 노어(Nor:코드저장)형 플래시메모리 공급가격이 업계의 인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2분기에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내주 시작되는 플래시메모리업체와 국내 휴대폰업체들간의 2분기 고정거래가 협상을 앞두고 AMD·샤프·히타치 등 주요 공급사들이 고객사들의 공급가 인하 요청을 수용해 10∼15%의 가격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도 연초 20∼40%의 공급가 인상을 추진키로 한 당초 방침에서 후퇴, 대량구매를 전제로 할 경우 공급가를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텔측의 한 관계자는 “1분기에는 일부 고객들이 가격인상 정책을 수용해 줬으나 시장상황이 변해 2분기에도 그대로 적용할지 여부는 미지수”라며 시장상황을 봐가며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플래시메모리업체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주 수요층인 휴대폰업체들이 중국 등 수출용 단말기에 대한 원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납품가 인하를 요청한 데 따른 대응책으로 보인다. 또 이라크사태 등으로 인해 대외 경제환경이 나빠지면서 가격인상의 토대가 되는 품귀(shortage)현상에 대한 기대가 약화된 것도 요인으로 풀이된다.
샤프전자부품의 한 관계자는 “1분기 가격인상 방침을 천명했던 경쟁사측도 고객들의 반발로 제대로 이를 관철시키지 못했다”면서 “1분기에는 가격을 동결했지만 2분기에는 다소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MD 관계자는 “2000년초와 비교하면 노어형 플래시메모리 가격이 8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이라면서 “고객요구를 수용하면서 고집적 제품 발굴과 원가경쟁력 확보로 위기를 타개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2
“너무 거절했나”... 알박기 실패한 中 할아버지의 후회
-
3
이재명 “AI 투자 위한 추경 편성하자…민주당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
-
4
美 필리델피아서 의료수송기 번화가 추락...사상자 다수
-
5
수출 16개월 만에 꺾였다…조업일 감소로 1월 10.3%↓
-
6
유출된 아이폰17 에어 후면 패널 보니… “카메라홀은 하나”
-
7
美, 中 딥시크 'AI 개발에 수출 금지 반도체 활용' 확인한다
-
8
적대적 M&A' 무력화한 고려아연 상호주…법조계 “묘수 가능성 커”
-
9
오픈AI, 추론 소형 모델 'o3 미니' 출시… AI 경쟁 가열
-
10
화성시, 19.8MW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돌입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