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 자주 발생해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비브리오 패혈증의 비브리오균 유전체 염기서열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로 완전히 해독됐다.
최현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팀은 최근 비브리오균 512만여개 염기쌍의 유전체 염기서열과 유전정보를 완전 해독하고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바이오텍정보센터(NCBI) 세균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 등재했다고 16일 밝혔다.
비브리오균 유전체는 국내에서 연구된 세균 유전체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최 교수팀은 연구시작 1년여 만에 이를 완전히 해독했다.
연구팀은 이 균의 유전체는 2개의 환형염색체로 구성됐으며 1번 염색체는 328만1945개 염기쌍에 3205개 유전자가, 2번 염색체에는 184만4853개 염기쌍에 1691개 유전자가 암호화돼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비브리오균의 유전체 지도를 작성한 결과 100여개의 새로운 병원성 유전자가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 균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져 비브리오 패혈증에 대한 치료제나 예방백신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었을 때 감염되는 비브리오 패혈증은 지난 76년 처음 밝혀졌으며 감염되면 피부가 썩어들어가고 치사율이 50%를 넘는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적대적 M&A' 무력화한 고려아연 상호주…법조계 “묘수 가능성 커”
-
2
美 연준 금리 4.25~4.50%로 동결…파월 “서두를 필요 없다”
-
3
[ET톡] 실손보험 개혁, 기존 계약은 소비자와 약속
-
4
은행권, AI 자산관리 총력전 돌입
-
5
“AI 시장 급성장, 데이터센터 장비·산업용 로봇·의료시스템 유망” KOTRA
-
6
설 당일 '귀성정체는 오후 2~3시, 귀경정체는 오후 4~5시 절정 예상'
-
7
충남-더본코리아, 푸드테크 육성 협약…내포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연계
-
8
美, 기준금리 동결…4.25~4.50% 유지
-
9
崔 대행 “트럼프 정책 초기 대응 중요…신속한 대응 마련”
-
10
[이슈플러스]딥시크 충격에 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출렁…美 증시, 고평가 우려 증폭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