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기획-뉴스&밀레니엄> 통신망의 "통일"로 "베를린장벽" 균열

 지난 90년 통일을 이뤄낸 독일은 통독과정에서 정보통신 교류·협력을 어떻게 진행해 왔을까.

 민족통일연구원 김규륜 연구원은 『동·서독간에 지속적으로 이뤄져온 통신분야 교류협력은 동·서독 주민간 이질감 해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통일을 이끌어 냈다』고 지적했다. 동·서독간의 정보통신분야 교류협력은 크게 2차대전 이후부터 지난 72년 동·서독간 기본조약 체결 이전, 기본조약 이후부터 89년 통일 이전, 독일통일 이후 등 3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제1단계(2차대전 종전 이후∼72년 동·서독 기본조약 이전)

 2차대전 이후 동·서독 통신은 완전히 단절되지는 않았으나 동독이 52년 동·서베를린간의 지선인 3910회선을 일방적으로 단절시킴으로써 직접통화는 불가능했다.

 70년 4월 서독의 독일연방우정부(DBP)와 동독의 독일우정부(DP)가 「우편 및 통신교류에서 발생한 비용의 청구 및 청산에 관한 합의사항」을 체결, 통신 상황은 다소 개선됐다. 또 71년에는 장거리 전화·전보·텔렉스 교류용 회선의 계속적인 증설 및 운영, 전체 장거리 전화와 통신교류의 단계적 자동화 이행, 주파수 사용의 조정에 합의했다.

 △제2단계(72년 동·서독 기본조약 이후∼통일 이전)

 72년 양독간 정보통신분야 기본조약의 체결로 전기를 맞았다. 양국 우정부은 76년 3월 우편교류, 장거리 통신, 주파수 이용, 급부의 청산, 요금반환 등에 대한 규정을 담은 「우편 및 통신분야에 대한 양독 정부간 조약」을 체결, 통신교류는 큰 폭으로 증대됐다. 당시 총 1529개 전화회선 가운데 서독에서 동독으로 연결한 회선은 1314개인데 반해 동독에서 서독으로는 215회선에 불과하는 등 회선의 서독 편중이 심했다. 100가구당 회선보급률(90년기준) 역시 동독이 11회선인데 반해 서독은 92회선이나 됐다. 이같은 현상은 특히 서독측의 통독에 대한 열망을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통독의 징후는 사실 이때부터 일기 시작했다.

 △제3단계(통일 이후)

 통일 후 정보통신분야는 기존 동·서독 정부간 맺었던 여러 조약과 협력을 토대로 빠른 속도의 통합과정을 겪었다. 구동독인들의 통신서비스에 대한 욕구에 대응키 위해 독일연방우정부은 600억마르크 규모의 종합 통신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Teledom 2000」을 마련하고 97년까지 구동독지역에 전화회선을 대폭 증설하고 공중전화기·데이터터미널·케이블TV 등을 신규로 설치했다.

 91년부터는 총연장 4400㎞의 광케이블을 매설하고 다수의 전략거점을 네트워크로 연결, 구동독지역 통신망의 99%를 디지털화했고 93년 말에는 단일 독일 통신망을 구축했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