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BIS사업 돌연 중단... 시스템개발 업체만 골탕

서울시가 시내버스 서비스 개선책의 하나로 추진해온 버스안내시스템(BIS) 시범사업이 중단돼 서울시의 계획을 믿고 시범사업에 나섰던 중소업체만 큰 피해를 입게 됐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내버스 사업자들의 요금횡령사건 이후 서울시가 對시민 서비스 개선책의 하나로 총 40억원을 들여 서울 종로구간에서 시행해온 BIS 시범운영을 이달 말부터 중단하고 시스템의 본격적인 도입은 오는 2000년 이후에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의 연속사업계획을 믿고 22억원의 개발비를 투입, 이 사업에 주력해온 인포뱅크(대표 박태영)는 개발비용은 물론 애써 개발한 시스템 개발 기술을 포기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對시민 버스 서비스의 일환으로 추진된 BIS사업은 지난해 서울시가 4개 전문업체에 제안서를 받아 인포뱅크를 시범사업자로 선정, 총 40억2천만원(버스운영주체인 버스운송사업조합 18억2천만원, 인포뱅크 22억원)을 들여 서울 종로 1가∼동대문 구간 6㎞에서 지난 1월부터 시범운영해 왔다.

특히 버스운송사업조합의 출자분 18억2천여만원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올 버스요금 인상 때 시스템 안내설치 비용을 시민부담으로 충당키로 하고 버스요금 4백30원 중에서 1.9원을 반영했으나 시스템도입 중단으로 결국 버스운송사업자들만 이익을 보게 됐다.

서울시는 특히 월 3천여만원(인건비 제외)의 BIS 운영자금을 1월부터 5월까지는 시범사업자인 인포뱅크측에 전담시켰오다 6월 들어 버스운송사업조합에 전가시켰으며 버스운송사업조합측 역시 6, 7월 두달간만 운영자금을 부담하고 8월 들어서는 운영자금 지원이 중단돼 인포뱅크가 단독으로 경비를 부담하고 있는 상태다.

인포뱅크측은 서울시의 특별한 조치가 없을 경우 이달 말까지만 시스템을 운영하고 현재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시스템을 모두 철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결국 행정당국인 서울시의 계획을 믿고 시범사업에 나선 인포뱅크만 개발투자비 22억원을 날리게 됐다.

이와 관련, 인포뱅크측은 최근 서울시 버스개선기획단장 앞으로 공문을 보내 BIS는 지금까지 서울시의 주요 정책사업으로 추진돼 왔으며 이 시스템의 본격 도입을 중단할 경우 △서울시의 연속사업 추진계획을 믿고 투자한 민자예산 22억원에 대한 보상 △관련시스템 및 관제시스템 운영 기술인력 유지관리 △순수 국내기술로 설계, 제작, 구축돼 운영 중인 BIS의 기술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포뱅크는 특히 전세계 교통관련 전문가 3천여명이 참가하게 될 ITS총회(98년 10월 서울 개최)에 대비, 해외교통 전문잡지 등을 통해 서울시 BIS를 대대적으로 홍보해 왔으나 이를 중단하게 돼 국제적인 망신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포뱅크측은 이 공문에서 『서울시 전역으로 시스템을 확장할 경우 총소요예산이 약 2백억원 규모로 전 시내버스운행을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할 수 있고 주요 간선도로의 정류장에서 버스도착 안내가 가능하며 사업을 연차적으로 시행할 경우 사업추진에 무리가 없다』고 주장하고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을 위해서라도 운영 중인 BIS를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버스운행관리는 물론 對시민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BIS대신 타코메타를 각 버스에 부착, 버스의 운행기록 등을 버스회사로부터 제출받는 방안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건설교통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이 ITS관련 사업에 나서면서 장기적인 계획없이 전시행정 위주의 한건주의에 급급해 업체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번 서울시의 행위로 교통분야 전반에 걸쳐 불신이 증폭, 업계의 시범사업 참여가 크게 위축돼 ITS 확산에 차질을 가져오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정창훈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