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의 납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다.
25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가전업체마다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산과 물류체계를 개선하면서 수주에서 공급에 이르는 납기가 해마다 단축되고 있다.
내수용 가전제품의 납기는 90년대 초만해도 3∼6개월이 걸렸지만 지난해를 전후로 해 한두달로 단축되더니 최근에는 길어야 보름 안팎으로 단축되고 있다.
납기기간이 긴 수출용 가전제품도 6개월 가량 걸렸던 납기가 1∼3개월로 짧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같은 납기 단축에는 모듈 설계와 혼류생산과 같은 새로운 생산시스템의 도입과 공정 및 물류의 개선이 뒷받침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을 수주받아 공급하는 기간은 길어야 일주일을 넘지 않는다.
내수용 냉장고는 마케팅과 생산현장을 통합하는 전산시스템을 통해 수주 다음달 곧바로 생산해 출하준비까지 끝낼 수 있다.
전자레인지도 수주에서 출하까지 1주일 밖에 걸리지 않는 즉시 공급체제를 갖춰놓고 있다.
LG전자는 세탁기에 대한 생산시스템을 개선하고 일부 공정을 통합해 보통 3개월 이상 걸리는 수출용 제품의 납기를 짧게는 보름 안팎으로 단축했다.
이 회사의 관계자는 『세탁기업계로는 처음 모듈설계시스템을 도입해 설계 변형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단축함으로써 세계 어느 곳에서도 요구하는 모델도 즉시에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우전자는 지난 4월부터 TV와 세탁기 공장을 시작으로 부품 협력업체와 공장간의 조달절차를 간소화시킨 정보시스템(다윈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이 시스템을 도입해 부품 조달에 걸리는 기간을 9∼13일에서 1∼2일로 단축해 납기도 그만큼 단축하고 있다.
이처럼 납기가 단축되자 가전업체들은 그동안 월단위로 생산계획에서 짜던 데에서 주 또는 일단위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수요에 적극 대응하려면 납기단축이 불가피해 거의 모든 가전품목에 걸쳐 생산과 물류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고 밝혀 앞으로 납기 단축이 더욱 가속화할 것임을 내비쳤다.
<신화수 기자>
많이 본 뉴스
-
1
SK온, 3사 합병 완료…“글로벌 배터리·트레이딩 회사 도약”
-
2
“너무 거절했나”... 알박기 실패한 中 할아버지의 후회
-
3
이재명 “AI 투자 위한 추경 편성하자…민주당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
-
4
美 필리델피아서 의료수송기 번화가 추락...사상자 다수
-
5
수출 16개월 만에 꺾였다…조업일 감소로 1월 10.3%↓
-
6
유출된 아이폰17 에어 후면 패널 보니… “카메라홀은 하나”
-
7
美, 中 딥시크 'AI 개발에 수출 금지 반도체 활용' 확인한다
-
8
한파 예보된 한국…111년만에 가장 따뜻한 러시아
-
9
적대적 M&A' 무력화한 고려아연 상호주…법조계 “묘수 가능성 커”
-
10
오픈AI, 추론 소형 모델 'o3 미니' 출시… AI 경쟁 가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