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기초과학 연구활동 빈약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박사 연구인력의 71.3%가 근무하고 있는 대학이 학생수 급증, 실습기자재 부족 등 교육여건 악화로 기초과학 연구에 충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과학기술정보의 DB구축이 과기처, 교육부, 정통부, 통산부 등 부처별로 분산되어 있고 그나마 상호호환이 이뤄지지 않아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어 중복, 유사연구 등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용원 교육부 기획관리실장은 16일 대덕연구단지 대덕문화센터에서 열린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기초과학의 역할」 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국내 대학의 경우 45년 19개 대학, 1천4백90명의 교직원에서 96년 현재 1백50개 대학, 4만8천5백82명의 교직원으로 각각 8배, 33배 증가한 반면 학생숫자는 무려 1백67배 증가한 총 1백30만6천4백23명에 이르러 교수들이 강의부담과 연구비 부족으로 연구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율 또한 국립대학은 37.8%, 사립대학은 40.0%에 불과하며 그나마 보유중인 기자재도 전담관리 인력부족과 장시간 사용으로 70% 이상이 노후돼 교체대상이라고 전했다.

국내 8백17개에 달하는 자연계 대학 부설연구소중 교육부 예산지원을 받고 있는 연구소는 96년 현재 자연계 첨단과학분야 연구소 23개소(1백50억원), 대학부설연구소 5개소(19억)에 불과해 효율적인 대학연구 지원책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대학 연구여건 악화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교수의 96년 한해 인구 1만명당 SCI지 논문발표수는 1.6편으로 미국 10.8편, 일본 5.1편, 이스라엘 15.3편은 물론 아시아 신흥공업국인 싱가포르 6.4편, 대만 3.5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실장은 또한 최근 이공계 관련 학회들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나 이공계열 학회의 연간 평균 운영비가 5천6백만원에 불과, 효과적인 학술활동 및 국제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실장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부는 현재 21%에 불과한 연구활동진흥을 위한 자유공모과제 지원에 대해 오는 2002년까지 50% 수준으로 끌어 올리며 반도체, 신소재, 기초의학, 기계공학, 수학, 물리학 분야에 대해 과학기술기초지원 연구를 위해 1천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연구전담교수제 도입, 교수분할임용제, 강의휴식년제, 신진교수 연구지원 등 대학연구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상룡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