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소매업·음식점업 비중이 4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부진을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의 비중이 금융위기 직후 수준이 가까워지는 등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움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6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과 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만1795명 증가한 것으로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폐업자는 2019년 92만215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해 2022년 86만7292명까지 줄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누적된 사업 부진과 금리 상승으로 인한 연체율 악화로 2023년부터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폐업률은 9.04%로 전년(9.02%) 대비 소폭 올랐다. 페업률은 전체 가동사업자와 폐업자 합계 대비 폐업자 수의 비율이다.
폐업 사유별로는 사업부진이 50만6198명으로 집계되며 전체의 50.2%를 차지했다. 사업 부진 폐업자는 2023년 7만5958명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만4015명 증가했다. 사업 부진 사유 비중이 50%를 초과한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50.2%) 이후 처음이다.
내수 부진은 폐업 업종에서 두드러졌다. 52개 업종 가운데 소매업 폐업자가 29만9642명으로 전체의 29.7%를 차지했다. 이어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도매 및 상품중개업(7.1%) 순이었다. 건설 경기 불황의 여파로 건설업 폐업자도 4.9%에 달했다.
폐업률도 소매업(16.78%)과 음식업(15.82%)에서 높았다. 특히 소매업 폐업률은 2013년 17.72%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내수 침체와 이에 따른 자영업자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추가경정예산안의 사업을 마련했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차 추경 예산안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취약차주 채무 탕감 방안 등이 포함됐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