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해 28조6000억원 규모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해서도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기획재정부는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통상 리스크 대응 금융지원 추진 계획'을 점검했다.
관세 피해 기업 긴급 위기극복 자금은 16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저리융자 자금은 3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1000억원)은 5월 말부터 본격 집행할 계획이며, 저리 운영자금(3조원) 또한 적극행정 지원위원회를 통해 5월 말 출시를 추진 중이다. 긴급경영안정자금(3000억원)은 추가신청 접수가 완료됐으며 6월부터 본격 집행된다.
신규 수출시장 진출 기업에는 7조4000억원의 융자 및 보증을 지원한다. 상생지원 금융 프로그램은 지난달부터 상시 지원 중이며 현재 30여개사인 대기업 상생협력약정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신시장진출자금은 6월초부터 본격 집행된다.
첨단사업 설비투자와 주력산업 재편을 위해서는 4조9000억원을 공급한다.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은 기업들의 신청 접수를 재개하며, 그 외 산업에 대해서는 5월 말 출시하며 첨단기금 신설 전까지 1조원을 공급한다.
정부의 정책자금 프로그램에는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1조5000억원과 금융기관 자체 재원 등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산업·통상환경 변화 대응 추진 경과와 향후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향후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부과 방안이 구체화될 경우 '미 관세대응 반도체·의약품 산업 대응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석화·철강 등 업종별 경쟁력 강화 방안도 마련한다.
유턴투자 보조금 확대, 외투기업 지원 확대 등 통상위기 대응 유턴기업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통상환경 변화로 지역 산업 및 고용위기가 확산할 경우 고용위기지역 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한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모든 역량을 집중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약품·반도체 등 품목 관세에 대비하고 유턴 투자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