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켄텍, 백금 뛰어넘는 차세대 연료전지 촉매 개발

Photo Image
팔라듐 셀레나이드(Pd-Se) 다상 구조 촉매 개발.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임현섭 화학과 교수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 홍종욱 교수팀이 공동으로 팔라듐 셀레나이드(Pd-Se) 기반의 혼합상 나노구조체를 이용해 산소환원반응(ORR)에서 기존 상용 백금 촉매(Pt/C)보다 우수한 전기화학 성능과 내구성을 가진 차세대 연료전지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Pd-Se는 팔라듐(Pd)과 셀레늄(Se)이 결합한 화합물로 다양한 결정 구조를 통해 전기화학 반응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연료전지의 ORR에서 높은 촉매 활성을 보여 백금(Pt)을 대체할 차세대 촉매로 주목받고 있다. 여러 결정상이 함께 존재하는 혼합상 구조는 시너지 효과를 통해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그동안 Pd-Se 촉매는 대부분 단일 결정상 중심으로 연구됐기 때문에 서로 다른 Pd-Se 결정상 간의 상호작용이 촉매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혼합상 구조가 전자 이동 경로를 개선하고, 반응 활성 부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새롭게 밝혀냈다. 핵심은 복잡한 공정 없이 단일 유기금속 전구체를 설계해 이를 정밀하게 열처리함으로써 다양한 Pd-Se 결정상이 공존하는 '혼합상 나노구조체'를 합성한 데 있다.

Photo Image
왼쪽부터 임현섭·홍석원 교수, 홍종욱 KENTECH 교수, 김현주 GIST 화학과 박사과정생.

특히 주목할 점은 서로 다른 Pd-Se 결정상이 산소환원반응의 각기 다른 반응 단계에서 각각의 강점을 발휘함으로써 전체 반응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 계산과 실험으로 입증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서로 다른 결정상들이 함께 존재할 때, 즉 혼합상 물질에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에 주목한 것이다. 기존 백금 기반 전기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고내구성 촉매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향후 연료전지와 같은 고급 에너지 변환 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혼합상 물질의 효과적인 설계 전략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임현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서로 다른 Pd-Se 결정상이 조화를 이루며 전기화학 반응의 각 단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이론 양면에서 입증한 사례”라며, “이 기술은 고성능 연료전지, 메탈에어 배터리, 수전해 시스템 등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 분야의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