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6]첫 TV 토론서 에너지 정책 격돌…'원전 확대 vs 재생중심'

제21대 대선 첫 TV토론에서 원자력발전과 재생에너지 정책을 두고 주요 후보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원전을 확대해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했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믹스 정책”을 강조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전력단가 등 현실부터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Photo Image
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18일 열린 제21대 대선 후보자 초청 TV토론회에서 김문수 후보는 “AI 시대 국가경쟁력의 핵심은 전력 확보”라며 “풍력·태양광은 발전 단가가 비싸고 불안정하다. 안전하고 저렴한 원전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대한민국 원전 생태계를 위축시켰다”며 “이재명 후보는 원전을 늘릴 의지가 있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에너지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원전도 필요하지만 위험성과 폐기물 처리 문제를 고려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같은 사고를 보라. 대한민국 원전이 영원히 안전하다는 보장은 없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가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져도 원자로는 멀쩡했다”고 주장하자, 이재명 후보는 “그런 식의 단순한 접근은 무책임하다”고 받아쳤다.

이준석 게혁신당 후보는 “이 후보는 AI에 100조 원을 쓰겠다면서도, 동시에 연 수조 원이 드는 농촌 기본소득 도입을 주장한다”며 “무엇이 진짜 미래를 위한 투자인지 우선순위를 정하지 못하는 지도자”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서남해 풍력발전은 킬로와트당 300원에 달할 정도로 비싼 전력원인데, 어떻게 데이터센터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또한 이재명 후보가 “재생에너지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하면 된다”고 주장하자, 이준석 후보는 “ESS는 태풍 등 자연재해가 닥칠 경우 며칠 이상 버티기 어렵다. 풍력 위주의 정책은 중국 기업의 이익만 커질 수 있다”며 “재생에너지로의 성급한 전환은 산업경쟁력을 해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김문수 후보는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는 원전보다 6~8배 비싸다”며 “환경론자들의 주장에만 휘둘려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후보는 “SMR(소형 모듈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은 연구개발을 이어가야 한다”면서도 “전체 에너지 정책은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에너지 믹스'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