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돕는 '명품특허' 만든다…중기부-특허청, 기술 보호·수출 지원 협력

Photo Image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왼쪽)이 22일 서울 구로구 벤처기업협회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특허청 합동 벤처기업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벤처기업 핵심 기술 보호와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특허청, 벤처 업계가 머리를 맞댔다.

중기부와 특허청은 벤처기업협회(이하 벤처협회)와 함께 22일 서울 구로구 서울마리오 타워에서 벤처기업들과 정책간담회를 열고, 지식재산권 기반 애로사항 청취와 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산업재산권을 바탕으로 미래 신산업과 세계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벤처기업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고,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지식재산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


벤처기업은 평균 10.1건의 산업재산권(특허권 5.9건, 상표권 2.5건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기업의 0.5%에 불과하지만 연 매출 242조원, 고용 93만5000명을 기록하며 산업 생태계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일반 중소기업 대비 수출 비중은 4.2배,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5.8배에 달한다.

벤처기업들은 △성과보상 제도 개선 △AI 기술 보호 및 특허 심사체계 개편 △기술 유출 방지 및 수출 지원 확대 △지식재산 사업화 지원 강화 △우수특허 보유기업 대상 부처 연계 지원 확대 등을 건의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글로벌 기술·통상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벤처기업이 지속적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중기부와 특허청의 긴밀한 정책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중기부와 특허청은 벤처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 마련에 뜻을 모으고, 간담회에서 제안된 과제의 정책 반영과 부처 간 연계 강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고물가, 고환율, 고관세 등 '3중고'와 미·중 통상 갈등으로 인해 벤처기업들이 어려운 경영환경에 처해 있다”며 “간담회에서 제안된 정책과제를 적극 반영하고, 특허청과의 협업을 통해 정책 시너지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완기 특허청장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핵심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 명품특허 전략이 필수”라면서 “해외 진출국에 최적화된 특허 전략 수립과 보호 지원을 위해 중기부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