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목재에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조사를 진행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미국 측에 별도의 공식 의견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수입 목재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를 진행한 동시에 이달 1일까지 각국 정부의 의견을 접수했는데 우리나라는 별도의 공식 입장을 전달하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일(현지시간) 상무부 장관에게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목재(이하 원목·가공된 목재) 수입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미 정부의 목재 관세 부과 움직임은 미국에 목재를 대량 공급하는 캐나다 등 국가를 겨냥한 성격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미국의 '목재와 그 제품 및 목탄' 수입에서 캐나다(48.54%·111억달러), 중국(8.49%·19억달러), 칠레(4.57%·10억달러)의 비중이 높았다. 우리나라의 비중은 0.05%(1159만9000달러)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대미 목재 수출 규모가 작은 만큼 미국이 향후 목재 품목 관세를 적용해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번 의견서 미제출과 관련해 소관 부처 간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목재 상품 관장 부처인 산림청이 의견서 제출과 관련한 별도의 의견을 내지 않았다고 밝힌 반면 산림청은 미 정부의 조사와 관련한 산업부의 안내가 없었다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당국에 의견은 제출하지 않았지만 다른 품목과 더불어 목재 관련 협의도 준비중”이라면서 “의견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해서 한국의 목재 수출 관련 입장이 묻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